건설산업 재탄생 전략
출판일 2025-03-18
연구원 CERIK
건설산업은 단순한 토목공사를 넘어 국가경제를 지탱하고, 사회의 기본 환경을 형성하며, 국민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반산업입니다. 하지만 건설산업은 전례 없는 위기와 변화 속에서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가치와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해야 하는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이에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산업의 재창조: 재탄생 전략』을 발간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기존 성장 모델에서 벗어나 가치 중심 산업으로 전환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며,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건설산업을 되살리기 위한 전략과 체계를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 건설산업이 직면한 과제와 위기는 복잡합니다. 저성장 기조, 부동산 시장 위축, 기술 혁신 정체, 인력 부족, 생산성 저하와 같은 구조적 문제뿐만 아니라 디지털 전환, 친환경 패러다임, ESG 경영, 인구 구조 변화와 같은 거대한 흐름이 산업 전체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기존의 방식만으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보장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건설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매우 명확합니다. 단순한 생존을 넘어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하는 국가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입니다. 건설산업 재도약 전략은 “국민의 미래를 건설하는 국가 산업”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4대 목표(Responsible: 책임 완수, Revolutionary: 혁신 추구, Reliable: 신뢰받는 기업, Resilient: 도약)와 3대 원칙(공정과 공존, 융합과 확장, 자율과 혁신)을 중심으로 추진됩니다.
첫째, 산업의 가치 재정립 - 건설산업은 단순한 건설산업에서 사람을 최우선으로 하는 산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기술과 자본뿐 아니라 사람이라는 가치가 산업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숙련된 인력 양성, 작업 환경 개선, 공정하고 안전한 산업 문화 확립이 필수적입니다.
둘째, 생산 시스템의 대대적인 전환 - 기존의 단절된 건설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연결성과 협력을 강화하는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과도한 규제와 불공정한 요소를 개선하는 동시에, 다양한 주체가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첨단 기술이 접목된 산업 구조를 형성해야 합니다.
셋째, 건설 시장 및 제품의 혁신 - 소비자 중심의 사고방식으로 전환하여 건설 제품과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합니다. 지속가능한 건설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디지털 기술과 스마트 건설 시스템을 접목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건설산업은 더욱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하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해야 합니다.
건설산업의 재탄생은 단순한 혁신이 아니라, 새로운 원칙과 철학을 바탕으로 산업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대전환의 과정입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연구와 정책 추진을 지원해야 합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이러한 변화의 여정 속에서 건설산업이 가치 중심의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정부, 지자체, 산학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건설산업이 미래를 창조하는 핵심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건설산업의 재탄생과 혁신을 위한 전략』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건설산업의 미래를 고민하는 모든 분들께 의미 있는 통찰과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