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시멘트 가격 상승이 건설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 분석

출판일 2001-04-01

연구원 김태황

- 올해부터 시멘트 가격이 9.2% 인상되었고, 레미콘 가격도 0.8% 인상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건설업체의 비용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최근 시멘트 가격의 인상은 수급 변동의 시장 요인 이외에 원유가, 전력비, 운송비  상승 및 공
  급 업체의 경영상 요인에서 비롯됨.

- 시멘트 업계는 3대 대기업을 중심으로 과점적 공급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선도 기업이 가
  격 변동을 주도해 나아가면서 암묵적인 상호 협조 관계를 형성함.

- 과점 가격이 형성됨에 따라 공급자의 초과 이윤이 1차 및 2차 수요자의 비용 상승으로 전가되
  어 불공정한 자원 배분 구조를 고착시킬 수도 있음.

- 1995~2000년 사이에 시멘트 가격은 사업연관표상의 가격 상승 유발 수준보다 실제로 4.5%
  더 인상한 것으로 추계됨.

- 시멘트와 콘크리트 제품의 가격이 10% 상승할 경우, 주택 건축 비용은 각각 0.29%와 0.68%
  가 상승하고 교통 시설물 건설 비용은 각각 0.49%와 1.23%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됨.

- 시멘트 가격의 9.2% 상승과 레미콘 가격의 8.0% 상승이 현실화될 경우, 건설업체는 100억원
  규모의 건설공사에서 부문별로 5,900~1억 4,300만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계
  됨.

- 시멘트 가격의 안정화를 위하여 산업 차원에서 합리적인 가격 조정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과
  점적 가격 체계를 개선해 나아가는 동시에, 수송 수단 및 유통 기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시멘트 수송 효율화를 제고시켜야 함.

- 또한, 수요자 입장에서는 시멘트 가격 변동에 대한 협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수요 패턴
  을 변화시킴으로써 거래 가격을 조절해 나아가야 함.

- 공급자 입장에서는, 시멘트의 품질 향상과 다양한 특성을 개발해 나아가야 하며, 업체들간 유
  통 부문에서의 업무 제휴를 활성화시켜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