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와 건설산업
보도일자 2009-06-18
보도기관 건설경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IT(정보통신)기술을 접목시킨 융합기술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화석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분야가 전력산업인데, ‘녹색성장’이 새로운 경제성장 패턴으로 부상하면서 스마트그리드의 필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미 국내 전력회사와 관련업계의 물밑 경쟁도 시작된 상태. 지난 15일에는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스마트그리드협회 간 협력서 서명식도 열렸다. 또 이번 이명박 대통령 미국 방문길에 국내 스마트그리드협회에 가입한 기업체의 임직원들이 대거 수행하기도 했다.
한·미 협력서 서명, 업계 관심 고조
우리 정부도 스마트그리드 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의 하나로 꼽고 있다. 전력에너지 10% 저감을 기대하고 있으나, 이 정도로 만족하기에는 부족하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 산업이 어떻게 발전해 갈 것이며, 건설산업의 시장 참여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
스마트그리드의 탄생은 공급자 중심인 기존의 전력망을 수요기관·소비자망을 연결하는 통합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사실에서 비롯됐다. 즉 생산된 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공급키 위해서는 소비처의 정확한 인지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소비처를 놓치게 되면 낭비가 된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자망과 소비자망을 서로 연결하면 되지만, 애석하게도 소비자망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다. 다시말해 소비자망 구축을 위해서는 IT기술이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이 스마트그리드의 출발점이다.
문제는 IT기술이 연결·감지 역할은 할 수 있지만 소비처를 구성하고 있는 인프라는 건설상품에 속한다. 즉 도시는 건설산업의 주요한 상품군이라는 의미다. 건설산업 역할의 중요성은 몇 가지 사례만으로도 증명된다.
지난 5월 20일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 주요도시 기후정상회의(C40) 중 스마트그리드 세션의 내용을 보자. 캐나다에서 온 발표자가 토론토가 세계 최초의 ‘스마트그리드시(市)’가 될 것이라고 장담, 주목을 끌었다.
그의 주장은 토론토시가 2050년까지 유해성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80%까지 저감시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 에너지저감이라는 3대 실천전략도 세웠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는 올해 말까지 그린에너지법을 제정, 강제성을 띨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소위 녹색도시는 정책적 강제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토론토시의 스마트그리드시 추진전략의 핵심은 재생에너지 공급과 에너지 사용량 저감을 동등한 높이에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경제위기 극복 수단으로 주창한 녹색뉴딜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서 도시가 소비하는 전력에너지 비중은 71%이며, 탄소배출량 비중도 79%에 이른다.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탄소배출 가스를 줄이자는 게 녹색뉴딜의 핵심이다. 최근 ‘고 투 그린 빌딩(Go to green building)’이라는 슬로건 아래 1931년에 준공한 뉴욕의 상징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의 성능 개선을 위해 향후 5년간 약 6000억원(약 5억 달러)을 투입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성능 개선의 핵심 역시 에너지 저감에 맞추고 있다. 에너지 사용량을 약 40% 저감시킨다는 목표다.
캐나다와 미국이 제시하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은 공급과 수요를 연계시키는 망(greed)에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공급과 수요를 동일한 선상에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재생에너지 혹은 전기에너지 공급을 앞세우는 한국 정부와 차이가 있다.
에너지 저감부문 건설산업 역할 기대
이에 따라 한·미 스마트그리드협력 서명서에서 시범사업으로 지목한 제주도의 녹색도시 혹은 마을 건설도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선진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목표와 전략들은 모두 완성 상품(도시와 항구, 교통 등)군별로 접근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는 재생에너지 공급량 확대 목소리와 정책만 보이지 수요 저감 정책이나 투자를 찾기 어렵다.
녹색성장이나 스마트그리드 모두의 공통점은 에너지 손실 방지, 재생에너지 확대, 그리고 에너지 저감이다. 따라서 당연히 에너지 저감 부문은 건설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미 국내 전력회사와 관련업계의 물밑 경쟁도 시작된 상태. 지난 15일에는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스마트그리드협회 간 협력서 서명식도 열렸다. 또 이번 이명박 대통령 미국 방문길에 국내 스마트그리드협회에 가입한 기업체의 임직원들이 대거 수행하기도 했다.
한·미 협력서 서명, 업계 관심 고조
우리 정부도 스마트그리드 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의 하나로 꼽고 있다. 전력에너지 10% 저감을 기대하고 있으나, 이 정도로 만족하기에는 부족하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 산업이 어떻게 발전해 갈 것이며, 건설산업의 시장 참여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
스마트그리드의 탄생은 공급자 중심인 기존의 전력망을 수요기관·소비자망을 연결하는 통합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사실에서 비롯됐다. 즉 생산된 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공급키 위해서는 소비처의 정확한 인지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소비처를 놓치게 되면 낭비가 된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자망과 소비자망을 서로 연결하면 되지만, 애석하게도 소비자망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다. 다시말해 소비자망 구축을 위해서는 IT기술이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이 스마트그리드의 출발점이다.
문제는 IT기술이 연결·감지 역할은 할 수 있지만 소비처를 구성하고 있는 인프라는 건설상품에 속한다. 즉 도시는 건설산업의 주요한 상품군이라는 의미다. 건설산업 역할의 중요성은 몇 가지 사례만으로도 증명된다.
지난 5월 20일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 주요도시 기후정상회의(C40) 중 스마트그리드 세션의 내용을 보자. 캐나다에서 온 발표자가 토론토가 세계 최초의 ‘스마트그리드시(市)’가 될 것이라고 장담, 주목을 끌었다.
그의 주장은 토론토시가 2050년까지 유해성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80%까지 저감시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그리드, 재생에너지, 에너지저감이라는 3대 실천전략도 세웠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는 올해 말까지 그린에너지법을 제정, 강제성을 띨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소위 녹색도시는 정책적 강제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토론토시의 스마트그리드시 추진전략의 핵심은 재생에너지 공급과 에너지 사용량 저감을 동등한 높이에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경제위기 극복 수단으로 주창한 녹색뉴딜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서 도시가 소비하는 전력에너지 비중은 71%이며, 탄소배출량 비중도 79%에 이른다.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탄소배출 가스를 줄이자는 게 녹색뉴딜의 핵심이다. 최근 ‘고 투 그린 빌딩(Go to green building)’이라는 슬로건 아래 1931년에 준공한 뉴욕의 상징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의 성능 개선을 위해 향후 5년간 약 6000억원(약 5억 달러)을 투입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성능 개선의 핵심 역시 에너지 저감에 맞추고 있다. 에너지 사용량을 약 40% 저감시킨다는 목표다.
캐나다와 미국이 제시하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은 공급과 수요를 연계시키는 망(greed)에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공급과 수요를 동일한 선상에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재생에너지 혹은 전기에너지 공급을 앞세우는 한국 정부와 차이가 있다.
에너지 저감부문 건설산업 역할 기대
이에 따라 한·미 스마트그리드협력 서명서에서 시범사업으로 지목한 제주도의 녹색도시 혹은 마을 건설도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 선진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목표와 전략들은 모두 완성 상품(도시와 항구, 교통 등)군별로 접근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는 재생에너지 공급량 확대 목소리와 정책만 보이지 수요 저감 정책이나 투자를 찾기 어렵다.
녹색성장이나 스마트그리드 모두의 공통점은 에너지 손실 방지, 재생에너지 확대, 그리고 에너지 저감이다. 따라서 당연히 에너지 저감 부문은 건설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