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9대책 효과 건설사 기대치 못미쳐
보도일자 2010-10-08
보도기관 국토자원경제
지난 9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전달 대비 12.5포인트가 상승한 62.6을 기록했다. 이로써 7.8월 2개월 동안 연속하락한 지수가 상승세로 전환됐으며, 지수는 지난 6월 수준(60.1)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실사지수(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을 넘으면 그 반대다.
지수가 전월 대비 10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은 작년 3월 22.3포인트 상승 이후 처음인데, 이는 통상적으로 건설 비수기인 혹서기를 지난 계절적 요인과 더불어 8.29 대책 시행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수 자체가 기준선(100.0)에 크게 못 미치고 있고, 혹서기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지수가 하락하기 직전인 6월 수준을 회복한 것에 그친 것으로 볼 때 8.29대책 시행이 지수 회복세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특히 전원 조사시 건설업체들은 9월 지수를 71.5로 전망했는데, 이번 조사시 9월 실적치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8.29대책의 실제 효과가 건설업체들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친 것을 의미한다.
업체규모별 경기실사지수는 업체규모에 관계없이 9월 CBSI가 모두 상승했다. 대형업체지수는 전월 대비 21.4포인트나 상승한 71.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견업체지수 역시 전월 대비 9.9포인트 상승한 69.2를 기록해 지난 3월 (70.4)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8월 전달 대비 8.6포인트 하락한 39.7을 기록해 8월 지수 하락을 주도했던 중소업체지수도 9월에는 전월 대비 5.1포인트 상승한 44.8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업체지수는 지난 7,8월 모두 중견업체에 비해서도 낮은 50.0을 기록하며 지난 2008년 12월(46.2)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9월에는 큰 폭으로 상승해 9월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9월 공사물량지수는 전월 대비 11.2포인트 증가한 63.8 기록, 지난 7월과 8월 50선의 부진에서 반등한 모습을 보였다. 공증별로는 토목이 전월보다 7.1 포인트 증가한 61.2, 주택이 10.6 포인트 증가한 57.5를 나타내는 등 모든 공종에서 물량지수가 전월 대비 증가했다.
주택물량지수가 전월 대비 10.6 포인트 증가함으로써 타 공종들보다 전월 대비 상승폭이 큰 것으로 보아 8.29대책으로 인한 건설사들의 긍정적인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수가 50선에 불과해 여전히 타 공종들보다 물량침체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인력 및 자재수급지수는 각각 94.1, 95.9를 기록하며 다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건비 및 자재비 지수가 각각 89.8, 73.9를 기록해 철강재 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자재비 상황이 아직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대금수금 및 자금조달지수는 81.9, 78.1을 기록해 자금관련 상황이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CBSI 전망치는 9월 실적치대비 5.0 포인트 상승한 67.6을 기록해 건설기업들이 9월에 이어 10월에도 건설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당분간 공공 수주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파트 미입주 물량 증가에 따른 건설업체들의 유동서 압박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8.29대책 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 CBSI 가 기준선에 근접하기까지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경기실사지수(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을 넘으면 그 반대다.
지수가 전월 대비 10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은 작년 3월 22.3포인트 상승 이후 처음인데, 이는 통상적으로 건설 비수기인 혹서기를 지난 계절적 요인과 더불어 8.29 대책 시행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수 자체가 기준선(100.0)에 크게 못 미치고 있고, 혹서기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지수가 하락하기 직전인 6월 수준을 회복한 것에 그친 것으로 볼 때 8.29대책 시행이 지수 회복세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특히 전원 조사시 건설업체들은 9월 지수를 71.5로 전망했는데, 이번 조사시 9월 실적치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8.29대책의 실제 효과가 건설업체들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친 것을 의미한다.
업체규모별 경기실사지수는 업체규모에 관계없이 9월 CBSI가 모두 상승했다. 대형업체지수는 전월 대비 21.4포인트나 상승한 71.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견업체지수 역시 전월 대비 9.9포인트 상승한 69.2를 기록해 지난 3월 (70.4)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8월 전달 대비 8.6포인트 하락한 39.7을 기록해 8월 지수 하락을 주도했던 중소업체지수도 9월에는 전월 대비 5.1포인트 상승한 44.8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업체지수는 지난 7,8월 모두 중견업체에 비해서도 낮은 50.0을 기록하며 지난 2008년 12월(46.2)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9월에는 큰 폭으로 상승해 9월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9월 공사물량지수는 전월 대비 11.2포인트 증가한 63.8 기록, 지난 7월과 8월 50선의 부진에서 반등한 모습을 보였다. 공증별로는 토목이 전월보다 7.1 포인트 증가한 61.2, 주택이 10.6 포인트 증가한 57.5를 나타내는 등 모든 공종에서 물량지수가 전월 대비 증가했다.
주택물량지수가 전월 대비 10.6 포인트 증가함으로써 타 공종들보다 전월 대비 상승폭이 큰 것으로 보아 8.29대책으로 인한 건설사들의 긍정적인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수가 50선에 불과해 여전히 타 공종들보다 물량침체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인력 및 자재수급지수는 각각 94.1, 95.9를 기록하며 다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건비 및 자재비 지수가 각각 89.8, 73.9를 기록해 철강재 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자재비 상황이 아직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대금수금 및 자금조달지수는 81.9, 78.1을 기록해 자금관련 상황이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CBSI 전망치는 9월 실적치대비 5.0 포인트 상승한 67.6을 기록해 건설기업들이 9월에 이어 10월에도 건설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당분간 공공 수주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파트 미입주 물량 증가에 따른 건설업체들의 유동서 압박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8.29대책 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 CBSI 가 기준선에 근접하기까지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