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교량의 효시, 한강철교 ①
보도일자 2011-02-28
보도기관 건설경제
경인철도 부설과 함께 1900년에 준공된 한강철교 건설은 우리나라 교통역사에 큰 획을 그은 대사건일 수밖에 없다. 기차와 철도라는 새로운 교통수단이 도입됐다는 역사적 의미는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서구의 근대적 신기술을 도입한 교량이 이땅 한반도에 처음으로 건설됐기 때문이다. 당시까지만 해도 한강을 비롯한 전국의 큰 강을 건너는 다리는 없었다. 임금이 한강을 건널 때 임시로 가설하는 주교(舟橋)가 가장 길고 큰 다리였다.
청계산 사냥길을 유난히 즐겼던 재위 말년의 연산군은 무려 800척의 민선을 징발했다고 한다. “강원도 땔감장수 통배 뺏기고 울고 가면, 전라도 알곡 장사 황포 뺏기고 울고 가면, 마포 객주들 발 뻗고 울고, 노들나루 색주가들 머리 잘라 판다”는 배다리 원가(怨歌)가 번질 만도 했다. 바로 그 배다리 놓던 자리 노량에 철교 교각을 세웠다.
사상 최초의 근대식 교량 건설
한강철교 건설 당시 한강의 만조 때 수면은 폭이 426m 정도였고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49m 남짓이었다. 그리고 평상시 수면 폭은 109m 정도였다. 철교 교각은 강안 양쪽의 교대(橋臺) 외에 모두 9개를 세웠다. 양 교대 사이의 거리는 628.9m였다. 강 남쪽 교대는 자연 암반 위에 화강석을 쌓았고, 강 북쪽 교대는 자갈층 위에 콘크리트로 시설했다. 교각의 수면 위로 드러나는 부분은 모두 화강석과 벽돌을 사용했으며, 수면 아래 교각 기초 부분은 그 위치에 따라 공법을 달리했다. 즉 남쪽부터 시작하여 제1호에서 4호 교각까지는 타원형 우물통(장축 9mㆍ단축 4.8m)을 사용했으며, 수심이 깊은 강 중앙 부분의 제5호부터 8호 교각은 우물통과 같은 크기의 철제 함을 사용했다. 그리고 제9호 교각은 자갈층 속으로 시판공(矢板工)을 내려 박아 콘크리트로 기초를 다졌다. 평상시 수면을 기준으로 수면 위 교각 높이는 11.2m였고, 수면 아래 잠기는 부분은 제9호가 3m로 가장 짧고 제5호의 12.8m가 가장 길었다.
상부 구조는 강재 트러스(truss) 형식을 취했으며, 구형(構桁ㆍgirder)은 미국제 단선 플래트형 10연(連)을 설치했다. 형 하나의 길이는 61m, 폭은 평균 5.1m, 높이는 11.3m였다. 10연 이후 용산 쪽 구간은 교각을 세우지 않고 제방을 쌓아 선로를 설치했으며, 홍수에 대비해 피일교(避溢橋)를 가설했다. 당초 모스(Morse, J. R.)가 부설권을 계약할 때는 철로 오른쪽에 폭 1.22m의 인도를 가설한다는 조건이 있었으나, 일본인들이 사업을 인수한 뒤 공사비 절감을 이유로 이 조건을 철회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K) 연구위원
청계산 사냥길을 유난히 즐겼던 재위 말년의 연산군은 무려 800척의 민선을 징발했다고 한다. “강원도 땔감장수 통배 뺏기고 울고 가면, 전라도 알곡 장사 황포 뺏기고 울고 가면, 마포 객주들 발 뻗고 울고, 노들나루 색주가들 머리 잘라 판다”는 배다리 원가(怨歌)가 번질 만도 했다. 바로 그 배다리 놓던 자리 노량에 철교 교각을 세웠다.
사상 최초의 근대식 교량 건설
한강철교 건설 당시 한강의 만조 때 수면은 폭이 426m 정도였고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49m 남짓이었다. 그리고 평상시 수면 폭은 109m 정도였다. 철교 교각은 강안 양쪽의 교대(橋臺) 외에 모두 9개를 세웠다. 양 교대 사이의 거리는 628.9m였다. 강 남쪽 교대는 자연 암반 위에 화강석을 쌓았고, 강 북쪽 교대는 자갈층 위에 콘크리트로 시설했다. 교각의 수면 위로 드러나는 부분은 모두 화강석과 벽돌을 사용했으며, 수면 아래 교각 기초 부분은 그 위치에 따라 공법을 달리했다. 즉 남쪽부터 시작하여 제1호에서 4호 교각까지는 타원형 우물통(장축 9mㆍ단축 4.8m)을 사용했으며, 수심이 깊은 강 중앙 부분의 제5호부터 8호 교각은 우물통과 같은 크기의 철제 함을 사용했다. 그리고 제9호 교각은 자갈층 속으로 시판공(矢板工)을 내려 박아 콘크리트로 기초를 다졌다. 평상시 수면을 기준으로 수면 위 교각 높이는 11.2m였고, 수면 아래 잠기는 부분은 제9호가 3m로 가장 짧고 제5호의 12.8m가 가장 길었다.
상부 구조는 강재 트러스(truss) 형식을 취했으며, 구형(構桁ㆍgirder)은 미국제 단선 플래트형 10연(連)을 설치했다. 형 하나의 길이는 61m, 폭은 평균 5.1m, 높이는 11.3m였다. 10연 이후 용산 쪽 구간은 교각을 세우지 않고 제방을 쌓아 선로를 설치했으며, 홍수에 대비해 피일교(避溢橋)를 가설했다. 당초 모스(Morse, J. R.)가 부설권을 계약할 때는 철로 오른쪽에 폭 1.22m의 인도를 가설한다는 조건이 있었으나, 일본인들이 사업을 인수한 뒤 공사비 절감을 이유로 이 조건을 철회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K)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