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을 살리자④]"혁신 없인 미래 없어"
보도일자 2011-12-19
보도기관 아시아경제
건설산업이 긴 침체에 빠져 있다. 일부에서는 위기라고 한다. 지난해 실질 건설투자 규모는 2005년 가격 기준으로 157조원이었다. 외환위기 이전의 150조원과 비교해 연평균 0.3% 증가에 불과하다. 십수년간 제자리 걸음이다. 지난해 ?1.4%에서 올해는 ?5.3%로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권오현 건산연 연구위원
물량 감소와 제도적 문제로 건설업체들이 겪는 고충은 심각하다. 적격공사의 평균 입찰경쟁률은 200대 1을 넘어 수주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지난 한해 1억원 이상의 공사를 단 한건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무려 29%에 달했다.
어려운 것은 중견 건설업체도 마찬가지다. 상위 100대 건설업체 중에서 29곳이 쓰러졌다. 상장 건설업체의 상반기 경영실적을 보면, 이자보상 비율이 100% 이하인 회사가 47%라고 한다.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어려운 실정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세계경제 불안으로 수출이 줄고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정부 지출이 복지 분야 등으로 집중되면 건설 투자는 더욱 위축된다는 것이다. 중장기 재정계획에서도 SOC 투자만 유일한 마이너스이다. 노령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장기적으로 저성장 저소비 사회가 고착되면 건설 투자는 더욱 위축될 수 있다.
건설 투자는 미래를 위한 투자이다. 수십년 쓸 시설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먼 미래 상황까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미래가 불안하면 건설 투자는 위축된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면 그 대가는 훗날 지불하게 된다.
장기 침체를 타개하려면 기업이 먼저 변해야 한다. 경기가 어려울수록 수요자들은 거품을 뺀 본질적인 가치를 중시한다. 가격은 더 싸고 품질은 더 좋아야 한다. 과거의 관행을 버리는 창조적 파괴가 일어나야 한다.
혁신이야말로 궁극적인 위기의 돌파구이자, 산업의 미래이고, 소비자의 기대이다. 또 준법질서 확립을 통한 사회 안정, 그리고 규제 완화와 제도 정책의 정상화는 투자 확대를 통해 경기를 살릴 수 있는 중요한 전제일 수 있다.
권오현 건산연 연구위원
물량 감소와 제도적 문제로 건설업체들이 겪는 고충은 심각하다. 적격공사의 평균 입찰경쟁률은 200대 1을 넘어 수주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지난 한해 1억원 이상의 공사를 단 한건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무려 29%에 달했다.
어려운 것은 중견 건설업체도 마찬가지다. 상위 100대 건설업체 중에서 29곳이 쓰러졌다. 상장 건설업체의 상반기 경영실적을 보면, 이자보상 비율이 100% 이하인 회사가 47%라고 한다.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어려운 실정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세계경제 불안으로 수출이 줄고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정부 지출이 복지 분야 등으로 집중되면 건설 투자는 더욱 위축된다는 것이다. 중장기 재정계획에서도 SOC 투자만 유일한 마이너스이다. 노령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장기적으로 저성장 저소비 사회가 고착되면 건설 투자는 더욱 위축될 수 있다.
건설 투자는 미래를 위한 투자이다. 수십년 쓸 시설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먼 미래 상황까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미래가 불안하면 건설 투자는 위축된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면 그 대가는 훗날 지불하게 된다.
장기 침체를 타개하려면 기업이 먼저 변해야 한다. 경기가 어려울수록 수요자들은 거품을 뺀 본질적인 가치를 중시한다. 가격은 더 싸고 품질은 더 좋아야 한다. 과거의 관행을 버리는 창조적 파괴가 일어나야 한다.
혁신이야말로 궁극적인 위기의 돌파구이자, 산업의 미래이고, 소비자의 기대이다. 또 준법질서 확립을 통한 사회 안정, 그리고 규제 완화와 제도 정책의 정상화는 투자 확대를 통해 경기를 살릴 수 있는 중요한 전제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