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
작성일 2019-07-01
작성자 CERIK
(주택) 하반기 전국 매매가격 –0.7%, 지방은 침체 지속
(건설) 국내 건설수주 전년비 5.8% 감소한 145.5조원, 5년래 최저
- 전국 하반기 매매가격 : 경기 악화, 대출 규제 등 수요 위축으로 상반기에 이어 하락세 지속
․ 수도권 하반기 매매가격 : 수도권 0.5% 하락. 저가 매물 유입 제한 효과로 하락폭 둔화
․ 지방 하반기 매매가격 : 지역 경기 어려움, 미분양 증가 압력으로 하락폭 확대되며 0.9% 하락
- 전국 하반기 전세가격 : 준공 누적으로 1.1% 하락, 연간 2.5% 하락하여 2004년 이래 최대치
- 2019년 국내 건설수주 : 5.8% 감소, 3년 연속 감소해 5년 내 최저치인 145.5조원 전망
- 2019년 건설투자 : 전년 대비 4.1% 감소, 2년 연속 감소 전망
- 올해 건설투자 감소로 취업자 수 13.8만명 감소, 경제성장률 0.6%p 하락 추정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일 「2019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2019년 하반기 동안 전국 매매가격이 0.7% 하락하고, 전세가격도 1.1%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 매매가격의 경우 하반기 동안 수도권 0.5%, 지방 0.9%, 전국 0.7% 하락하여 시장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수도권은 상반기에 비해 하락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금리가 인하되면 기존 주택 보유자들이 대출을 통해 전세가 하락폭을 극복하고 급매물을 거둬들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면 지방의 경우 수요 여력이 약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미분양 증가에 따른 하방 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 국내 건설수주 전년비 5.8% 감소한 145.5조원, 5년래 최저
- 전국 하반기 매매가격 : 경기 악화, 대출 규제 등 수요 위축으로 상반기에 이어 하락세 지속
․ 수도권 하반기 매매가격 : 수도권 0.5% 하락. 저가 매물 유입 제한 효과로 하락폭 둔화
․ 지방 하반기 매매가격 : 지역 경기 어려움, 미분양 증가 압력으로 하락폭 확대되며 0.9% 하락
- 전국 하반기 전세가격 : 준공 누적으로 1.1% 하락, 연간 2.5% 하락하여 2004년 이래 최대치
- 2019년 국내 건설수주 : 5.8% 감소, 3년 연속 감소해 5년 내 최저치인 145.5조원 전망
- 2019년 건설투자 : 전년 대비 4.1% 감소, 2년 연속 감소 전망
- 올해 건설투자 감소로 취업자 수 13.8만명 감소, 경제성장률 0.6%p 하락 추정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일 「2019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2019년 하반기 동안 전국 매매가격이 0.7% 하락하고, 전세가격도 1.1%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 매매가격의 경우 하반기 동안 수도권 0.5%, 지방 0.9%, 전국 0.7% 하락하여 시장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수도권은 상반기에 비해 하락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금리가 인하되면 기존 주택 보유자들이 대출을 통해 전세가 하락폭을 극복하고 급매물을 거둬들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면 지방의 경우 수요 여력이 약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미분양 증가에 따른 하방 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