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CBSI 전월 대비 1.8p 상승한 54.3 기록
작성일 2023-01-02
작성자 CERIK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2일 “12월 CBSI가 전월 대비 1.8p 상승한 54.3으로 5개월 만에 소폭 반등하였다고 밝혔다.
- CBSI는 지난 8~11개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고, 특히 11월에는 12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52.5를 나타냈으나, 12월에 1.8p 소폭 반등하였다.
□ 이에 대해 박철한 연구위원은 “예년만큼 연말 회복 효과가 없었으며 12월 수준으로는 14년래 최저치로 여전히 상황이 좋지 않다”라고 말했다.
- 4개월 동안 지수가 하락한데 따른 통계적 반등 효과와 연말에 공사 발주가 증가하는 계절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수가 소폭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 다만, 통상 연말에 지수가 평균적으로 5~7p 상승했던 것을 감안하면, 예년만큼 반등이 이뤄지지는 못했으며, 12월 수치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12월(37.3) 이후 14년래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 특히, 세부 BSI 중 자금조달 BSI가 8년 10개월래 최저치인 68.1을 기록, 자금조달 상황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대형기업 BSI가 45.5로 14년 만에 처음으로 40선을 기록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 2022년 1월 전망지수는 12월 실적지수보다는 1.7p 높은 56.0을 기록했다.
- 박 연구위원은 “전망지수가 12월 실적지수보다는 높지만, 50선에 불과해 1월에도 여전히 건설 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설명했다.
- CBSI는 지난 8~11개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고, 특히 11월에는 12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52.5를 나타냈으나, 12월에 1.8p 소폭 반등하였다.
□ 이에 대해 박철한 연구위원은 “예년만큼 연말 회복 효과가 없었으며 12월 수준으로는 14년래 최저치로 여전히 상황이 좋지 않다”라고 말했다.
- 4개월 동안 지수가 하락한데 따른 통계적 반등 효과와 연말에 공사 발주가 증가하는 계절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수가 소폭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 다만, 통상 연말에 지수가 평균적으로 5~7p 상승했던 것을 감안하면, 예년만큼 반등이 이뤄지지는 못했으며, 12월 수치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12월(37.3) 이후 14년래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 특히, 세부 BSI 중 자금조달 BSI가 8년 10개월래 최저치인 68.1을 기록, 자금조달 상황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대형기업 BSI가 45.5로 14년 만에 처음으로 40선을 기록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 2022년 1월 전망지수는 12월 실적지수보다는 1.7p 높은 56.0을 기록했다.
- 박 연구위원은 “전망지수가 12월 실적지수보다는 높지만, 50선에 불과해 1월에도 여전히 건설 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