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
출판일 2017-12-04
연구원 이홍일, 박철한
11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는 전월비 1.3p 하락한, 78.2를 기록
- CBSI는 지난 8월, ‘8.2 부동산 대책’과 ‘2018년 SOC예산(안) 20% 감축’ 발표 영향으로 지수가 80선 중반에서 70선 중반(74.2)으로 급격히 하락함.
- 이후 9월과 10월 각각 76.3, 79.5를 기록해 지수가 2개월 동안 소폭 회복되었으나, 11월 들어 다시 전월비 1.3p 하락해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3개월 만에 다시 하락함.
- 결국, CBSI는 지난 8월~11월까지 70선에 머물었는데, 이렇게 4개월 연속 70선을 기록한 것은 2014년 4~7월 이후 3년 4개월 만에 처음 겪는 상황으로, 건설 경기가 점차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함.
- 이는 그동안 CBSI 상승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주택 경기가 정부 대책 및 규제의 영향으로 위축된 가운데, 시중 금리 인상 11월 30일 한국은행은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1.5%로 0.25%p 인상함. CBSI 조사시점과 일치하지 않아 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진 않았으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고, 이미 시중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해온 것을 감안, 이러한 영향이 지수에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됨.
으로 주택뿐만 아니라 상업용 시설과 오피스텔 같은 비주택 건축물 또한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임.
- 실제로 11월 신규 공사수주 지수 중 주택이 전월비 3.4p 하락하였으며, 비주택 건축도 8.2p 하락하는 등 주택과 비주택 건축 지수가 모두 하락함.
- CBSI는 지난 8월, ‘8.2 부동산 대책’과 ‘2018년 SOC예산(안) 20% 감축’ 발표 영향으로 지수가 80선 중반에서 70선 중반(74.2)으로 급격히 하락함.
- 이후 9월과 10월 각각 76.3, 79.5를 기록해 지수가 2개월 동안 소폭 회복되었으나, 11월 들어 다시 전월비 1.3p 하락해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3개월 만에 다시 하락함.
- 결국, CBSI는 지난 8월~11월까지 70선에 머물었는데, 이렇게 4개월 연속 70선을 기록한 것은 2014년 4~7월 이후 3년 4개월 만에 처음 겪는 상황으로, 건설 경기가 점차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함.
- 이는 그동안 CBSI 상승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주택 경기가 정부 대책 및 규제의 영향으로 위축된 가운데, 시중 금리 인상 11월 30일 한국은행은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1.5%로 0.25%p 인상함. CBSI 조사시점과 일치하지 않아 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진 않았으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고, 이미 시중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해온 것을 감안, 이러한 영향이 지수에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됨.
으로 주택뿐만 아니라 상업용 시설과 오피스텔 같은 비주택 건축물 또한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임.
- 실제로 11월 신규 공사수주 지수 중 주택이 전월비 3.4p 하락하였으며, 비주택 건축도 8.2p 하락하는 등 주택과 비주택 건축 지수가 모두 하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