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
출판일 2023-05-12
연구원 CERIK
◎ (건설수주) 2023년 3월 국내 건설수주는 13.4조 원(전년 동월 대비 –33.7%)
● 공공 수주가 전년 동월 대비 22.5% 감소하였으며, 민간부문도 37.7% 감소해 부진
● 신규주택과 사무실·점포 등 건축수주의 위축이 크게 두드러짐
◎ (건설기성) 2023년 3월 건설기성액은 15.6조 원(전년 동월 대비 +20.8%)
● 공공(+14.4%)과 민간(+22.5%) 모두 양호했으며, 공종별로는 토목(+18.3%)과 건축(+21.7%) 모두 양호
◎ (각종 건설물가) 전반적으로 건설물가 상승세가 둔화, 단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품목의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상황
● 시멘트와 레미콘 등 중요 자재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20%대의 높은 상승세 기록
● 원재료와 국내출하품 가격 상승세는 둔화되었지만, 건설용 중간재 수입 가격 상승세가 전월보다는 소폭 상승
◎ (건설고용) 2023년 3월 건설업 취업자는 210만 명(전년 동월 대비 –0.9%, 전월 대비 +2.6%)
● 지난 2월(204만 명)보다는 취업자 수가 6만 명 정도 증가
◎ (등록・폐업・부도) 2023년 3월 기준 종합건설기업 등록업체 수는 1.9만 개사(전월 대비 +40개사), 3월 폐업 공고 건수 38건으로 전월 대비 10건 감소
● 비록 폐업건 수가 전월 대비 감소하였어도, 지난해 9월부터 7개월 연속 월 30건 이상 폐업 공고가 이뤄지고 있고, 올해 1∼4월 동안, 종합건설업체의 총 폐업 건수는 157건으로 기간 대비 12년래 최고치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3월 전반적으로 신규수주가 크게 위축되었지만, 기성은 양호한 흐름 이어가 지난 2월과 마찬가지로 준공을 앞둔 현장에서 공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분석
● 3월 건설수주는 위축되었지만, 건설기성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진행 중인 건축 공사가 지난해보다 증가하였음을 뜻함
● 3월에 시멘트 수급문제가 발생했는데, 원가를 절감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등 관련 공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보임
● 공공 수주가 전년 동월 대비 22.5% 감소하였으며, 민간부문도 37.7% 감소해 부진
● 신규주택과 사무실·점포 등 건축수주의 위축이 크게 두드러짐
◎ (건설기성) 2023년 3월 건설기성액은 15.6조 원(전년 동월 대비 +20.8%)
● 공공(+14.4%)과 민간(+22.5%) 모두 양호했으며, 공종별로는 토목(+18.3%)과 건축(+21.7%) 모두 양호
◎ (각종 건설물가) 전반적으로 건설물가 상승세가 둔화, 단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품목의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상황
● 시멘트와 레미콘 등 중요 자재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20%대의 높은 상승세 기록
● 원재료와 국내출하품 가격 상승세는 둔화되었지만, 건설용 중간재 수입 가격 상승세가 전월보다는 소폭 상승
◎ (건설고용) 2023년 3월 건설업 취업자는 210만 명(전년 동월 대비 –0.9%, 전월 대비 +2.6%)
● 지난 2월(204만 명)보다는 취업자 수가 6만 명 정도 증가
◎ (등록・폐업・부도) 2023년 3월 기준 종합건설기업 등록업체 수는 1.9만 개사(전월 대비 +40개사), 3월 폐업 공고 건수 38건으로 전월 대비 10건 감소
● 비록 폐업건 수가 전월 대비 감소하였어도, 지난해 9월부터 7개월 연속 월 30건 이상 폐업 공고가 이뤄지고 있고, 올해 1∼4월 동안, 종합건설업체의 총 폐업 건수는 157건으로 기간 대비 12년래 최고치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3월 전반적으로 신규수주가 크게 위축되었지만, 기성은 양호한 흐름 이어가 지난 2월과 마찬가지로 준공을 앞둔 현장에서 공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분석
● 3월 건설수주는 위축되었지만, 건설기성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진행 중인 건축 공사가 지난해보다 증가하였음을 뜻함
● 3월에 시멘트 수급문제가 발생했는데, 원가를 절감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등 관련 공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