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08월 월간 건설 시장 동향
출판일 2024-08-09
연구원 CERIK
◎ (건설수주) 2024년 6월 국내 건설수주는 25.0조원(전월 대비 +77.3%, 전년 동월 대비 +15.4%)
- 지난 5월 29.6% 감소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증가
- 6월 기준 실적으로는 예년(동월 대비 3년 평균)보다 2.1조원 정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이 특히 양호했던 것으로 분석
◎ (건설기성) 2024년 6월 건설기성액은 15.9조원(전월 대비 +11.7%, 전년 동월 대비 –2.7%)
- 공공 전년 동월 대비 2.5% 양호했지만, 민간이 4.0% 감소
- 전년 동월 대비 토목(+13.7%)은 양호했지만, 건축(-8.1%)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남
◎ (각종 건설물가)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레미콘과 시멘트 위주로 상승세 지속
- 6월 생산자물가지수와 건설기성 디플레이터 전년 동월 대비로는 2.0~2.5% 증가
- 일반철근과 고장력철근 가격이 전월에 이어 마이너스(-) 증감률을 기록. 다만, 레미콘, 시멘트와 고로슬래그는
여전히 2~7%대의 상승세 지속
◎ (건설고용) 2024년 6월 건설업 취업자 수 206만명(전월 대비 –0.6%, 전년 동월 대비 –3.1%) 기록
- 건설 취업자수는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4월까지 오름세를 기록했지만,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하며 2개월 연속 감소
- 건축공사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감소세가 향후 지속될지는 좀 더 추이를 살필 필요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6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공공 주도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2개월 연속 감소 부진.
건설 물가는 점차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해 전반적으로 건축 공사 물량이 감소하는 모습 보여
- 지난 5월 29.6% 감소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증가
- 6월 기준 실적으로는 예년(동월 대비 3년 평균)보다 2.1조원 정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이 특히 양호했던 것으로 분석
◎ (건설기성) 2024년 6월 건설기성액은 15.9조원(전월 대비 +11.7%, 전년 동월 대비 –2.7%)
- 공공 전년 동월 대비 2.5% 양호했지만, 민간이 4.0% 감소
- 전년 동월 대비 토목(+13.7%)은 양호했지만, 건축(-8.1%)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남
◎ (각종 건설물가)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레미콘과 시멘트 위주로 상승세 지속
- 6월 생산자물가지수와 건설기성 디플레이터 전년 동월 대비로는 2.0~2.5% 증가
- 일반철근과 고장력철근 가격이 전월에 이어 마이너스(-) 증감률을 기록. 다만, 레미콘, 시멘트와 고로슬래그는
여전히 2~7%대의 상승세 지속
◎ (건설고용) 2024년 6월 건설업 취업자 수 206만명(전월 대비 –0.6%, 전년 동월 대비 –3.1%) 기록
- 건설 취업자수는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4월까지 오름세를 기록했지만,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하며 2개월 연속 감소
- 건축공사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감소세가 향후 지속될지는 좀 더 추이를 살필 필요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6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공공 주도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2개월 연속 감소 부진.
건설 물가는 점차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해 전반적으로 건축 공사 물량이 감소하는 모습 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