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11월 월간 건설 시장 동향
출판일 2024-11-14
연구원 CERIK
◎ (건설수주) 2024년 9월 건설수주는 15.5조원(전월 대비 +32.0%, 전년 동월 대비 +0.4%)
- 통상 건설수주는 9월에 하절기 이후 공사 증가의 영향으로 수주가 증가하는데 올해도 그러한 영향이 반영되어 전월 대비 32.0% 증가
- 전년 동월 대비로 살핀 결과 0.4% 증가하였는데, 결국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연속 증가
- 단 9월 기준 실적으로는 예년보다 2.1조원 정도 부진, 지난해 9월 수주가 부진한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
◎ (건설기성) 2024년 9월 건설기성액은 13.0조원(전월 대비 –0.1%, 전년 동월 대비 –11.2%)
- 공공(전년 동월 대비 –5.4%)과 민간(전년 동월 대비 –12.4%) 모두 감소
- 결국, 지난 5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해 부진한 모습을 보임.
◎ (각종 건설물가)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
- 생산자물가(1.6→1.1%)와 공사비지수(2.8→0.9%) 그리고, 건설기성 디플레이터(1.5→1.1%)의 경우 모두 지난 8월보다 둔화
- 일반철근과 고장력철근 전월보다는 소폭 가격이 상승하였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5~6% 감소. 포틀랜드와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가격변동이 없는 상황 가운데 레미콘은 가격이 전월보다 일부 하락
◎ (건설고용) 2024년 9월 건설업 취업자 수 206만명(전월 대비 +0.7%, 전년 동월 대비 -4.6%)
- 건설 취업자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4월까지 증가세 유지했지만,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5개월 연속 감소
- 8월 –3.9% 이후 9월에 –4.6%를 기록해 침체가 더 심화, 전년 대비 증감률로는 지난 2023년 2월 5.6%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하락폭 기록
- 기성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건축공사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9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완만히 증가,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5개월 연속 감소
건설 물가는 점차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해 전반적으로 공사 물량이 감소한 모습
- 통상 건설수주는 9월에 하절기 이후 공사 증가의 영향으로 수주가 증가하는데 올해도 그러한 영향이 반영되어 전월 대비 32.0% 증가
- 전년 동월 대비로 살핀 결과 0.4% 증가하였는데, 결국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연속 증가
- 단 9월 기준 실적으로는 예년보다 2.1조원 정도 부진, 지난해 9월 수주가 부진한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
◎ (건설기성) 2024년 9월 건설기성액은 13.0조원(전월 대비 –0.1%, 전년 동월 대비 –11.2%)
- 공공(전년 동월 대비 –5.4%)과 민간(전년 동월 대비 –12.4%) 모두 감소
- 결국, 지난 5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해 부진한 모습을 보임.
◎ (각종 건설물가)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
- 생산자물가(1.6→1.1%)와 공사비지수(2.8→0.9%) 그리고, 건설기성 디플레이터(1.5→1.1%)의 경우 모두 지난 8월보다 둔화
- 일반철근과 고장력철근 전월보다는 소폭 가격이 상승하였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5~6% 감소. 포틀랜드와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가격변동이 없는 상황 가운데 레미콘은 가격이 전월보다 일부 하락
◎ (건설고용) 2024년 9월 건설업 취업자 수 206만명(전월 대비 +0.7%, 전년 동월 대비 -4.6%)
- 건설 취업자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4월까지 증가세 유지했지만,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5개월 연속 감소
- 8월 –3.9% 이후 9월에 –4.6%를 기록해 침체가 더 심화, 전년 대비 증감률로는 지난 2023년 2월 5.6%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하락폭 기록
- 기성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건축공사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9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완만히 증가,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5개월 연속 감소
건설 물가는 점차 안정세를 보이는 반면, 건설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해 전반적으로 공사 물량이 감소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