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CERIK 시장전망

25년 03월 월간 건설 시장 동향

출판일 2025-03-24

연구원 CERIK

(건설수주) 2025년 1월 건설수주는 9.0조 원(전월 대비 –72.6%, 전년 동월 대비 –31.4%)으로 1월 수주로는 11년래 최저치로 부진한 실적 기록

    - 공공수주는 토목과 비주택 건축수주가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2% 감소, 1월 실적으로는 7년래 최저치인 2.5조원 기록

    - 민간수주는 토목과 주택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1월 실적으로는 6년래 최저치인 6.6조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2% 감소

(건설기성)2025년 1월 건설기성액은 10.7조 원(전월 대비 –35.7%, 전년 동월 대비 –26.8%)

    - 공공(전년 동월 대비 –5.7%)과 민간(전년 동월 대비 –30.0%) 모두 부진

    - 결국 지난해 5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해 부진한 모습을 보임

(각종 건설물가) 1월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전월보다 소폭 둔화되었는데, 환율로 인해서 건설 중간재 수입품 물가가 증가했지만, 건설경기 침체로 수요가 감소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

    - 소비자물가(1.9→2.2%), 생산자물가(1.7→1.7%)는 지난해 12월보다 소폭 증가 또는 동일

    - 건설공사비지수(1.1→0.9%), 건설기성 디플레이터(1.1→0.6%) 등 건설 관련 물가는 지난해 12보다 소폭 감소

    -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 결과 중간재건설용(수입)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8.6% 상승, 반면 중간재건설용(국내) 물가는 0.1% 감소

(건설고용) 2025년 1월 건설업 취업자 수 192만명(전월 대비 –4.5%, 전년 동월 대비 –8.0%)

    - 건설 취업자수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9개월 연속 감소

    - 기성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건축공사 물량 위축으로 인한 투입 인력이 감소한 가운데 정부 토목공사 물량 감소 영향도 함께 반영된 것으로 판단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1월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가 공공과 민간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도 9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점차적으로 침체한 모습

    - 비록 건설용 중간재 수입 물가가 상승하였지만, 국내 수요 자체가 위축된 영향으로 건설물가는 안정적인 모습, 건설업 취업자 수의 감소세 또한 확대(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7.2→ -8.0%)되는 등 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