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08월 월간건설시장동향
출판일 2025-08-12
연구원 CERIK
(건설수주) 2025년 6월 건설수주는 22.4조원으로 공공과 민간 모두 부진(전월 대비 +52.1%, 전년 동월 대비 –15.9%)
수주액 22.4조원은 예년 수준보다 2.9조원 정도 부진한 금액임
공공수주는 예년에 비해 주택이 양호했지만, 나머지 토목과 비주택 건축이 부진하여 전년 동월 대비 19.4% 감소한 6.7조원 기록
민간수주의 경우 비주택 건축수주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지만, 나머지 토목과 주택이 부진한 모습을 보여 전년 동월 대비 14.3% 감소한 15.7조원을 기록
결국, 건설수주는 지난 4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건설기성)2025년 6월 건설기성액은 13.9조원(전월 대비 +21.3%, 전년 동월 대비 –11.9%)
공공이 전년 동월 대비 10.7% 감소, 민간도 전년 동월 대비 12.2% 감소해 부진
결국, 지난해 5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각종 건설물가) 6월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건설 중간재 수입 물가가 감소하고, 건설 국내 출하 물가도 감소해 안정적인 모습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 결과 중간재건설용(수입)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0.7% 감소한 가운데, 중간재건설용(국내) 물가가 0.4% 감소
생산자물가 상승률(0.3→0.5%), 건설공사비 지수 상승률(0.6→0.8%), 건설기성 디플레이터(0.4→0.4%) 지난 5월과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
(건설고용) 2025년 6월 건설업 취업자 수 196만명(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4.7%)
건설 취업자 수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14개월 연속 감소
민간 건축뿐만 아니라 공공 토목공사 물량 또한 부진한 데 따른 영향 때문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지난 5월과 마찬가지로 6월에도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였으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 또한 1년 4개월 감소세 지속해 부진한 모습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는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의 감소를 뜻하며, 이러한 영향으로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전반적으로 건설 관련 물가도 둔화됨.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 상황,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7년 8월 이후 가장 오랜 기간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