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543호

출판일 2016-01-04

연구원 CERIK

국내 건설시장 호황의 두 얼굴

본고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015년 12월 24일 발간한 「2016년 건설․부동산 7대 이슈 : 호황의 두 얼굴」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였음. 2회로 게재 예정이며 본고는 1회차임.

- 호황 속 위험요인 증가, 건설기업의 적절한 대응 전략 필요 -
■ 국내 건설시장 호황의 3가지 이면
• 최근 국내 건설시장은 호황인 가운데서도 위험요인이 증가하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음.
• 우선 2015년에 역대 최고 수주액 기록이 확실시되는 등 호황 국면에 접어든 모습을 보이고 있음.
- 2014년에 회복세를 시작한 국내 건설수주는 2년 만인 2015년에 기존 역대 최고치인 2007년의 127.9조원을 10조원 이상 상회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임.
- 2016년에도 국내 건설수주액은 123조원을 기록해 2007년, 2015년 다음으로 역대 3번째 수준을 유지하며 비교적 양호할 전망임.
• 그러나, 주택 부문에 대한 의존도가 커짐에 따라 향후 시장 규모의 변동성이 커졌고, 호황의 지속 가능성도 낮다는 문제점 등을 안고 있음.
• 첫째, 최근 국내 건설시장의 호황은 대부분 주택 부문이 주도하는 한계점이 있음.
- 2015년 1~10월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47.4% 증가했는데, 주택수주가 71.5% 증가해 전체 수주 증가세를 주도했음.
- 주택수주 중에서도 특히 공공 주택수주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민간 주택수주가 1~10월 동안 76.4% 급증해 2015년 국내 건설수주 호조세를 견인했음.



------목차 ------

     ■ 정책․이슈
      ․국내 건설시장 호황의 두 얼굴
      ․건설 원가관리 민간자격의 활용과 공인화 수요
      
      ■ 경영․정보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성과와 도전 과제( I )

      ■ 건설 경기 동향
       ․2016년 국내 건설수주, 3년 만에 감소세 전환 전망
       ․2016년 부동산시장, 불안한 상승세 전망
    
      ■ 연구원 소식

      ■ 건설 논단 :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