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848호

출판일 2022-03-21

연구원 최은정,허윤경, 손태홍, 박희대

지난 1월 27일 기업에서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업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 이로 인해 건설업체의 ‘안전관리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음.
건설현장의 사고를 미연에 방022-지하기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함. 그러나 대형 건설업체를 제외한 중소 건설업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수준이 매우 낮은 상황임.
- 따라서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의 마련이 필요함. 건설인적자원개발위윈회(2021)에 따르면, ‘BIM’, ‘드론’, ‘친환경 기술’,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 기술’과 관련된 교육이 가장 시급하면서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현재 직업전문교육기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만족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직업전문교육기관의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을 이수한 자를 대상으로 도움 되었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55.6%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36.9%를 차지해 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고민을 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임.
- 직업전문교육기관의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62.4%가 ‘현장성 없는 교육’을 1순위로 꼽았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재’가 50.3%로 2순위를 기록함.
따라서 스마트 건설기술이 활성화되기 위해 체계적 교육훈련 계획 수립이 필요한 시점임.
- 향후 직업전문교육기관의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 시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전체 응답자의 52.3%가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1순위로, 44.1%가 ‘스마트 건설기술별 교육 커리큘럼을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을 2순위로 선정함.

===================목 차 =================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필요
오피스텔 100만호 시대, 용도에 맞는 제도적 지원 필요
글로벌 CEO 77%, “세계 경제 회복세 지속” 전망
향후 4년, 세계 모듈러 건설시장 연간 4.7~7.0% 성장
건설안전과 정부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