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886호
출판일 2022-12-16
연구원 나경연, 박철한, 이지혜, 박용석
건설근로자 수급전망에 대한 기간은 2022~2024년으로 향후 3년간(이하 ‘중기’) 건설근로자 수요 및 공급에 대해 전망함.
- 이때 지역별 범위는 17개 광역자치단체를 상정하여 분석함.
지역별 건설근로자의 수요, 공급(내국인, 외국인) 및 수급 격차(=공급 - 수요) 전망을 위해 지역별 비중을 적용함.
- 지역별 비중은 건설근로자공제회 DB(2015∼2019년)의 내국인, 외국인 지역별 비중을 3년 이동평균법으로 각각 전망하여 2022∼2024년 평균을 이용함.
- 단, 내국인 및 외국인의 지역별 비중은 거주지가 아닌 근로하는 현장 소재지 비중을 의미함.
- 지역별 수요는 지역별 건설투자 비중을 이용했으며, 지역별 공급 중 내국인은 지역별 내국인 비중, 외국인은 지역별 외국인 비중을 각각 적용함.
내국인에 비해 외국인의 경우,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현장 선호 현상이 관측됨. 내국인의 수도권 비중 합은 48.2%, 외국인은 85.7%로 나타남. 반면, 수도권 건설투자 비중 합은 48.0%로 나타남.
- 내국인의 경우 지역별 수요(건설투자) 비중과 유사한 규모로 수도권에 분포되어 있으나 외국인은 수요 대비 약 1.8배 이상으로 추정됨.
- 중기(2022∼2024년) 평균적으로 경기도의 수요는 45.7만명, 내국인 공급은 32.5만명, 외국인 공급은 6.8만명, 전체 공급은 39.3만명, 내국인 수급 격차(부족분)는 13.2만명으로 전망됨.
- 또한, 세종특별자치시의 수요는 2.7만명, 내국인 공급은 0.5만명, 외국인 공급은 0.1만명, 전체 공급은 0.6만명, 내국인 수급 격차(부족분)는 2.2만명으로 전망됨.
- 울산을 제외한 광역시(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전라북도는 내국인 부족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됨.
- 다만 이는 건설근로자의 거주지 개념이 아니라 지역 간 건설투자 규모(비중)의 영향, 지역별 내·외국인 퇴직공제 신고 현장 분포 및 인원(비중)의 영향, 대도시지역 현장 선호 영향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사료됨.
=================목 차 =================
2022∼2024 지역별 건설근로자 수급 전망
3/4분기 건설투자,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
3/4분기 건설업 경영, 매출액증가율 큰 폭 하락
북한의 동・서해 연결 대운하 건설 모색과 시사점
- 이때 지역별 범위는 17개 광역자치단체를 상정하여 분석함.
지역별 건설근로자의 수요, 공급(내국인, 외국인) 및 수급 격차(=공급 - 수요) 전망을 위해 지역별 비중을 적용함.
- 지역별 비중은 건설근로자공제회 DB(2015∼2019년)의 내국인, 외국인 지역별 비중을 3년 이동평균법으로 각각 전망하여 2022∼2024년 평균을 이용함.
- 단, 내국인 및 외국인의 지역별 비중은 거주지가 아닌 근로하는 현장 소재지 비중을 의미함.
- 지역별 수요는 지역별 건설투자 비중을 이용했으며, 지역별 공급 중 내국인은 지역별 내국인 비중, 외국인은 지역별 외국인 비중을 각각 적용함.
내국인에 비해 외국인의 경우,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현장 선호 현상이 관측됨. 내국인의 수도권 비중 합은 48.2%, 외국인은 85.7%로 나타남. 반면, 수도권 건설투자 비중 합은 48.0%로 나타남.
- 내국인의 경우 지역별 수요(건설투자) 비중과 유사한 규모로 수도권에 분포되어 있으나 외국인은 수요 대비 약 1.8배 이상으로 추정됨.
- 중기(2022∼2024년) 평균적으로 경기도의 수요는 45.7만명, 내국인 공급은 32.5만명, 외국인 공급은 6.8만명, 전체 공급은 39.3만명, 내국인 수급 격차(부족분)는 13.2만명으로 전망됨.
- 또한, 세종특별자치시의 수요는 2.7만명, 내국인 공급은 0.5만명, 외국인 공급은 0.1만명, 전체 공급은 0.6만명, 내국인 수급 격차(부족분)는 2.2만명으로 전망됨.
- 울산을 제외한 광역시(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전라북도는 내국인 부족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됨.
- 다만 이는 건설근로자의 거주지 개념이 아니라 지역 간 건설투자 규모(비중)의 영향, 지역별 내·외국인 퇴직공제 신고 현장 분포 및 인원(비중)의 영향, 대도시지역 현장 선호 영향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사료됨.
=================목 차 =================
2022∼2024 지역별 건설근로자 수급 전망
3/4분기 건설투자,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
3/4분기 건설업 경영, 매출액증가율 큰 폭 하락
북한의 동・서해 연결 대운하 건설 모색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