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920호
출판일 2023-08-18
연구원 성유경, 손태홍, 이지혜
건설현장의 기술인력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인식에 따라, 대한건설협회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종합건설사를 대상으로 건설현장의 기술인력 부족 실태를 조사함.
- 대한건설협회는 지난 6월 20일부터 7월 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31개 건설사가 응답함. 응답한 건설사 중 89%는 200위 이하의 중소건설사였기 때문에, 이번 실태조사의 결과는 대기업 및 중견건설사의 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최근 3년간 건설현장에서 기술인력 채용이 어려웠다고 응답한 건설사는 94%(‘어려운 편이었다’ 56%, ‘매우 어려웠다’ 38%)에 달할 정도로, 거의 모든 현장에서 기술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음(<그림 1> 참조).
- 채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한 건설사는 6%에 불과함.
무엇보다 현재 겪고 있는 기술인력 부족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전체의 88%를 차지함(<그림 2> 참조). 이러한 인식은 현장의 인력 부족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로 남을 것임을 시사함.
- 현장의 기술인력 부족이 단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은 8%로 나타났으며, 현재 기술인력 부족이 해소되고 있다는 응답은 1%에 불과하였음.
이와 같은 현장의 기술인력 부족이 건설사업의 공사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한 기업은 61%였으며, 또한, 기술인력 부족은 품질 저하 및 안전사고 우려 증가와 공기 지연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 현장 기술인력 부족이 건설사업에 미치는 영향 현장 기술인력 부족이 건설사업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중복응답이 가능하도록 조사하였기 때문에, 각 항목 응답 비중의 합은 100%를 넘음. 이하 <그림 4~7>의 조사도 중복응답이 가능하도록 조사되었음.
- 건설현장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운영되거나, 채용기준을 낮추어 인력을 고용하기도 함. 이러한 영향으로 응답 기업의 36%는 현장의 품질 저하 및 안전사고 우려가 커졌다고 응답함.
- 기술인력 부족이 공기 지연에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기업도 32%였으며, 기술인력 부족으로 인한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6%에 불과함.
============================목차===================
건설현장 기술인력 부족 실태와 영향
2022년 ENR 225대 설계기업 매출 동향 분석
2022년 건설업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현황
- 대한건설협회는 지난 6월 20일부터 7월 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31개 건설사가 응답함. 응답한 건설사 중 89%는 200위 이하의 중소건설사였기 때문에, 이번 실태조사의 결과는 대기업 및 중견건설사의 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최근 3년간 건설현장에서 기술인력 채용이 어려웠다고 응답한 건설사는 94%(‘어려운 편이었다’ 56%, ‘매우 어려웠다’ 38%)에 달할 정도로, 거의 모든 현장에서 기술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음(<그림 1> 참조).
- 채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한 건설사는 6%에 불과함.
무엇보다 현재 겪고 있는 기술인력 부족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전체의 88%를 차지함(<그림 2> 참조). 이러한 인식은 현장의 인력 부족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로 남을 것임을 시사함.
- 현장의 기술인력 부족이 단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은 8%로 나타났으며, 현재 기술인력 부족이 해소되고 있다는 응답은 1%에 불과하였음.
이와 같은 현장의 기술인력 부족이 건설사업의 공사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한 기업은 61%였으며, 또한, 기술인력 부족은 품질 저하 및 안전사고 우려 증가와 공기 지연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 현장 기술인력 부족이 건설사업에 미치는 영향 현장 기술인력 부족이 건설사업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중복응답이 가능하도록 조사하였기 때문에, 각 항목 응답 비중의 합은 100%를 넘음. 이하 <그림 4~7>의 조사도 중복응답이 가능하도록 조사되었음.
- 건설현장은 기술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운영되거나, 채용기준을 낮추어 인력을 고용하기도 함. 이러한 영향으로 응답 기업의 36%는 현장의 품질 저하 및 안전사고 우려가 커졌다고 응답함.
- 기술인력 부족이 공기 지연에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기업도 32%였으며, 기술인력 부족으로 인한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6%에 불과함.
============================목차===================
건설현장 기술인력 부족 실태와 영향
2022년 ENR 225대 설계기업 매출 동향 분석
2022년 건설업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