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향브리핑

건설동향브리핑 925호

출판일 2023-09-22

연구원 박철한, 허윤경, 김화랑

방글라데시는 세계 8위(약 1.7억 명)의 인구 대국으로 ‘△중국·인도와의 인접성,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내수시장 성장, △주변 경쟁국 대비 풍부한 생산가능인구 등’을 통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5년간(’23~’27년) 잠재성장률은 약 7%로 예측됨.
- 국내총생산(GDP)에서 산업부문별 기여비중(2022년 기준)은 ‘제조업(22.6%), 도소매업(14.8%), 농림어업(11.7%), 건설업(9.7%), 부동산업(8.9%)’ 순임. 건설업은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14.4%로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주력 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함.
현지 건설시장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인구 증가·도시화 현상 심화, 산업구조 다변화, 외국인 직접투자(FDI)유입 확대를 위한 환경 조성, 민간협력사업(PPP) 전담 기구 설립’ 등 인프라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마련 및 추진에 기인함.
- 현지 정부는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입 확대를 위해 열악한 ‘물류, 전력, 상하수도 등’ 인프라 환경 개선을 위해 원자력 발전소, 교량 등 다양한 건설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정부 예산은 코로나19로 인해 공공서비스, 의료보건 등의 비중이 증가한 가운데 교량, 도로, 항만 등 인프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건설 분야 예산 또한 증가 추세를 기록 중임.
현지 정부는 열악한 인프라 환경과 부족을 경제 성장의 최대 장애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취약한 정부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 대외 차관에 기반을 둔 다양한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만성적인 정부 재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민관협력사업(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방식의 프로젝트 개발을 추진 중으로 지난 2015년 민관협력청(Public Private Partnership Authority)을 설립하여 사업 발굴 및 투자 유치를 노력 중임.
향후 10년(’23~’32년)간 지속 가능 개발목표를 고려한 인프라 필요 투자액은 2,642억 달러로, 분야별로는 에너지(1,164억 달러)가 가장 크며, 다음으로 ‘수자원(387억 달러), 통신(398억 달러), 철도(102억 달러)’ 순으로 ‘발전·송전 및 배전, 상하수도 집수·처리·배수’ 등의 시설투자 확대가 예상됨.
- ‘에너지, 수자원, 통신, 철도, 공항’ 분야는 필요 투자액과 예상 투자액 간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사업추진 시 대외 차관 유치와 PPP 발주방식 적용 등을 확대할 것으로 보임.

============================목 차 ================
1~7월 건설수주, 전년 대비 21.9% 감소
1~7월 주택 매매거래, 전년 대비 7.7% 감소
방글라데시 건설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 진출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