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동향브리핑 928호
출판일 2023-10-20
연구원 김정주, 김화랑, 최은정
우리 경제는 과거 고성장 시대에서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였으며, 대표적인 경기 후행 산업인 건설업은 산업순환주기 중 성숙기에 진입한 상황임. 저성장 국면이 지속될 경우 국내총생산(GDP) 내 건설업 비중 감소뿐만 아니라 건설기업 경영여건 또한 악화될 것으로 예상함.
- 그간 우리 기업은 국내 시장 침체기에는 시장 측면에서의 대안으로 해외시장 진출 확대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노력을 전개하였음.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 사업 분야 내 밸류체인 확장뿐만 아니라 타(他) 분야로의 진출을 통한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주요 건설기업의 신(新)사업 진출 동향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건설 분야를 탈피하여 ‘△폐기물·수처리, △스마트 건설, △신재생에너지’ 등과 관련된 신규사업 추진을 통해 신성장 동력 확보와 함께 안정적인 현금흐름 창출기반 여건 조성 마련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임.
지난 3년(2021~2023)간 주요 건설기업의 정관상 신규 사업목적 추가 현황에 관한 조사결과 ‘△사업 다각화를 통한 기업 가치 향상, △수주 산업의 불확실성 감소, △안정적 현금흐름 창출을 위한 기반여건 조성 등’을 목표로 사업영역을 확장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에스케이 에코플랜트] ESG 선도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지난 2021년(환경)과 2022년(에너지) 사업목적 추가를 통해 환경·에너지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가속하고 있으며, 국내외 관련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해 친환경·에너지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아이에스동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농·수·축산물 생산·가공·판매업 등), △환경 경영 강화(신재생 에너지 생산·판매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 정비를 통한 신성장동력 마련(2차전지 소재 관련 화합물의 개발·제조·가공 및 판매업 등)’을 목표로 14건의 신규사업 목적을 추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규사업과 신재생 에너지 부문 사업 진출, 환경사업 부문 경쟁력 강화 등을 지속해서 도모함.
- [한신공영] ‘△사업 다각화(상가임대업, 자동차 운전교습업), △관계사 인수·합병(도·소매업, 분양대행·홍보광고 서비스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영상보안 장비 제조 및 생산 사업 진출’을 목표로 14건의 신규사업 목적 추가를 통해 타 산업 분야로의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것으로 파악됨.
==========================목 차 ========================
부동산PF 위기 완화를 위한 ‘직접적’ 지원 정책 필요
주요 건설기업의 신규사업 추진 현황 분석
미국과 호주의 엔지니어 역량 개발 사례와 시사점
- 그간 우리 기업은 국내 시장 침체기에는 시장 측면에서의 대안으로 해외시장 진출 확대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노력을 전개하였음.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 사업 분야 내 밸류체인 확장뿐만 아니라 타(他) 분야로의 진출을 통한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주요 건설기업의 신(新)사업 진출 동향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건설 분야를 탈피하여 ‘△폐기물·수처리, △스마트 건설, △신재생에너지’ 등과 관련된 신규사업 추진을 통해 신성장 동력 확보와 함께 안정적인 현금흐름 창출기반 여건 조성 마련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임.
지난 3년(2021~2023)간 주요 건설기업의 정관상 신규 사업목적 추가 현황에 관한 조사결과 ‘△사업 다각화를 통한 기업 가치 향상, △수주 산업의 불확실성 감소, △안정적 현금흐름 창출을 위한 기반여건 조성 등’을 목표로 사업영역을 확장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에스케이 에코플랜트] ESG 선도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지난 2021년(환경)과 2022년(에너지) 사업목적 추가를 통해 환경·에너지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가속하고 있으며, 국내외 관련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해 친환경·에너지 전문 기업으로의 도약을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됨.
- [아이에스동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농·수·축산물 생산·가공·판매업 등), △환경 경영 강화(신재생 에너지 생산·판매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 정비를 통한 신성장동력 마련(2차전지 소재 관련 화합물의 개발·제조·가공 및 판매업 등)’을 목표로 14건의 신규사업 목적을 추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규사업과 신재생 에너지 부문 사업 진출, 환경사업 부문 경쟁력 강화 등을 지속해서 도모함.
- [한신공영] ‘△사업 다각화(상가임대업, 자동차 운전교습업), △관계사 인수·합병(도·소매업, 분양대행·홍보광고 서비스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영상보안 장비 제조 및 생산 사업 진출’을 목표로 14건의 신규사업 목적 추가를 통해 타 산업 분야로의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것으로 파악됨.
==========================목 차 ========================
부동산PF 위기 완화를 위한 ‘직접적’ 지원 정책 필요
주요 건설기업의 신규사업 추진 현황 분석
미국과 호주의 엔지니어 역량 개발 사례와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