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급효과로 본 건설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및 녹색건설사업의 경제파급효과
출판일 2009-04-16
연구원 윤영선, 박철한
본 연구는 건설산업 활동의 국가경제 파급효과 즉, 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함.
- 건설투자에 따른 건설산업 활동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보고, 정부의 녹색뉴딜사업 중 건설관련사업의 생산유발효과와 일자리창출효과를 분석
2005년도 건설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제조업보다 낮으나 서비스업 및 전 산업 평균보다 높음.
- 반면,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서비스업보다는 낮으나 제조업 및 전 산업 평균보다 높음.
- 부가가치유발계수 중 임금소득유발계수는 서비스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부문 중에서 가장 높음.
- 수입유발계수는 서비스업보다는 높으나 제조업의 절반보다 낮게 나타남으로써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높음.
건설산업의 일자리 창출효과는 시계열적으로 여타산업 부문보다는 저하되는 속도가 현저히 낮음.
- 2005년도 건설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서비스업보다는 낮으나 제조업보다 높고 전 산업 평균보다도 높음.
- 한편, 임금소득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용유발계수는 건설산업이 오히려 서비스업보다 더 높게 나타남.
- 건설투자에 따른 건설산업 활동의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보고, 정부의 녹색뉴딜사업 중 건설관련사업의 생산유발효과와 일자리창출효과를 분석
2005년도 건설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제조업보다 낮으나 서비스업 및 전 산업 평균보다 높음.
- 반면,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서비스업보다는 낮으나 제조업 및 전 산업 평균보다 높음.
- 부가가치유발계수 중 임금소득유발계수는 서비스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부문 중에서 가장 높음.
- 수입유발계수는 서비스업보다는 높으나 제조업의 절반보다 낮게 나타남으로써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높음.
건설산업의 일자리 창출효과는 시계열적으로 여타산업 부문보다는 저하되는 속도가 현저히 낮음.
- 2005년도 건설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서비스업보다는 낮으나 제조업보다 높고 전 산업 평균보다도 높음.
- 한편, 임금소득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용유발계수는 건설산업이 오히려 서비스업보다 더 높게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