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붕괴 전후 시기별 환경변화에 대응한 일본 제네콘의 전략변화 분석 및 시사점
출판일 2009-07-20
연구원 김민형
일본의 버블붕괴와 현재 우리가 당면한 경기 침체는 그 원인과 상황에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건설업 상황이나 건설업체가 안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은 버블붕괴 후 일본 건설업체가 당면했던 문제점과 많은 유사성을 띰.
일본 제네콘들의 경우 경영악화에 따라 간접비 절감이나 재무구조 개선과 더불어 내부 생산시스템의 개혁이 동반된 반면, 현재 우리나라 업체들의 대부분은 전자의 두 가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임.
- 진정한 원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경비절감을 넘어선 생산시스템의 개혁이 필수적이므로 우리 업체들도 이번 기회를 생산구조의 근본적인 개혁을 통해 고원가 구조에서 탈피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임.
더욱이 일본의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경기부양을 위한 공공투자의 확대가 한동안은 건설업계를 유지시킬 수 있겠지만, 최근의 재정 악화를 고려할 때 조만간 한계에 도달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 강구가 요망됨.
- 건설업체들은 공공투자 감소 후에 당면할 경영환경에 대해 민간경기가 회복되는 경우와 민간경기가 회복되지 못하고 공공투자 감소를 맞는 경우 등에 대한 시나리오 경영을 통해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일본 제네콘들의 경우 경영악화에 따라 간접비 절감이나 재무구조 개선과 더불어 내부 생산시스템의 개혁이 동반된 반면, 현재 우리나라 업체들의 대부분은 전자의 두 가지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임.
- 진정한 원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경비절감을 넘어선 생산시스템의 개혁이 필수적이므로 우리 업체들도 이번 기회를 생산구조의 근본적인 개혁을 통해 고원가 구조에서 탈피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임.
더욱이 일본의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경기부양을 위한 공공투자의 확대가 한동안은 건설업계를 유지시킬 수 있겠지만, 최근의 재정 악화를 고려할 때 조만간 한계에 도달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 강구가 요망됨.
- 건설업체들은 공공투자 감소 후에 당면할 경영환경에 대해 민간경기가 회복되는 경우와 민간경기가 회복되지 못하고 공공투자 감소를 맞는 경우 등에 대한 시나리오 경영을 통해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