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기업의 해외 사업 리스크관리 역량 현황 및 시사점
출판일 2014-08-18
연구원 유위성, 김우영, 이영환
▶ 세계 건설시장의 성장과 함께 국내 건설기업들의 대규모 해외사업 수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하지만 2013년 해외건설에서 경험한 손실을 교훈으로 삼아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조기 경보(Early Warning) 기능이 가능한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음.
- 국내 건설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의 수준과 운영 범위는 다양하지만 글로벌 건설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와는 상당 부분 차이가 있음.
- 본고에서는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체계의 글로벌 표준화를 재고찰하고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역량을 조사함으로써 기업들의 현황 및 시사점을 제시함. 이는 향후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역량을 조직/절차/시스템, 수주 단계, 수행 단계 영역에서 조사 및 분석하여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함.
-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조직/절차/시스템은 실제 사업에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수주단계의 리스크 식별 및 평가에 집중되어 평가 후 분석, 대응 후 평가 등 사후 관리를 위한 리스크 추적과 변화 관리를 위한 기능이 절실히 필요함.
- 특히, 실무자의 경험적․주관적 정보에 의존하고 있어 정량적 리스크 평가가 어려움. 이는 최근 정량적 리스크 평가에 대한 발주 요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신속히 보완해야 할 기업들의 선결 과제임.
- 국내 건설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의 수준과 운영 범위는 다양하지만 글로벌 건설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리스크관리 체계와는 상당 부분 차이가 있음.
- 본고에서는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체계의 글로벌 표준화를 재고찰하고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역량을 조사함으로써 기업들의 현황 및 시사점을 제시함. 이는 향후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수립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건설기업들의 해외사업 리스크관리 역량을 조직/절차/시스템, 수주 단계, 수행 단계 영역에서 조사 및 분석하여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함.
- 국내 건설기업들의 리스크관리 조직/절차/시스템은 실제 사업에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수주단계의 리스크 식별 및 평가에 집중되어 평가 후 분석, 대응 후 평가 등 사후 관리를 위한 리스크 추적과 변화 관리를 위한 기능이 절실히 필요함.
- 특히, 실무자의 경험적․주관적 정보에 의존하고 있어 정량적 리스크 평가가 어려움. 이는 최근 정량적 리스크 평가에 대한 발주 요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신속히 보완해야 할 기업들의 선결 과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