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향후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징

출판일 2017-07-13

연구원 이홍일

2020년 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유지보수 시장이 증가하고, 신축 시장의 축소 가능성이 커지는 등 여러 측면에서 선진국형 건설시장으로의 전환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
- 2020년은 향후 건설경기 사이클상 불황 국면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아, 불황 국면 중에 건설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도 본격 시작된다는 점에서 국내 건설기업의 사전적 준비가 필요해 보임.
●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징은 노후 시설의 유지보수 수요 급증, 신축 시장 축소 및 질적 변화, 운영(O&M) 시장 성장 및 시공부문과 시너지 확대 등임.
● 우선 2020년 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노후 시설의 유지보수 수요가 급증하면서 유지보수 공사의 비중이 상당히 높은 선진국형 건설시장으로 전환되기 시작할 전망임.
- 주요 선진국들의 경우 자국 건설시장에서 유지보수 시장의 비중이 대체적으로 40~50% 수준이나, 현재 우리나라는 20% 이하 수준으로 추정되며, 2020년 이후 동 비중의 증가가 예상됨.
● 단, 공공 시장은 예산상 한계 때문에 대규모 재·개축을 통한 성능 개선보다는 소규모 보수·보강에 그칠 전망임.
- 반면, 민간 시장은 도심 노후 아파트, 상업용 빌딩 등 사업성 확보가 가능한 건축물 중심으로 공공 시장에 비해 대규모 재·개축이 활성화될 전망임.
- 일본의 사례를 참조할 때 우리나라도 1990년대 신축된 수많은 시설들이 준공된 지 40년이 되는 2030년이 가까워지면서 노후 시설에 대한 대규모 재·개축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향후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두 번째 특징은 신축 시장 축소 및 질적 변화임.
- 신도시 개발, 광역교통망 확충 등의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 축소, 유지보수 수요 급증으로 인한 공공부문의 신축 예산 축소, 신규 주택 수요 축소 등의 영향으로 신축 건설시장은 점차 축소될 전망임.
- 한편, 향후 주택을 포함한 노후 건축물과 노후 사회기반시설의 재축(rebuild)이 신축 건설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임.
● 향후 신축 건설시장이 점차 축소됨과 동시에 신축 건설시장에 질적인 변화도 예상됨.
- 향후 신축 건설시장은 신기술을 기반으로 고급화되고,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추어 다품종 소량 생산체계로 서서히 전환되며, 사회적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건설 상품을 모색해야 하는 형태로 변화될 것임.
● 향후 국내 건설시장 패러다임 변화의 세 번째 특징은 운영(O&M) 시장 성장 및 시공부문과의 시너지 확대임.
- 운영(O&M)부문은 TSP(Total Solution Provider) 관점에서 시공부문과의 시너지 창출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