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반기 건설경기 전망
출판일 2020-07-03
연구원 박철한, 이홍일
● 2020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6.1% 감소한 155.9조원을 기록할 전망임. 상반기에 3.1% 감소하고 하반기에도 8.4% 감소해 침체가 더욱 심화될 전망임.
● 발주 부문별로 공공 수주는 공공기관 발주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약 10% 정도 증가할 전망이나, 민간 수주의 하락을 만회하기에는 부족할 전망임.
- 공공 수주는 경기부양을 위한 공사 발주가 증가해 전년 대비 9.9% 증가한 52.8조원을 기록, 11년래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임.
- 민간 수주의 경우 하반기에 주택과 비주택 건축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12.6% 감소한 103.1조원을 기록할 전망임.
● 공종별로는 토목 수주가 공공공사 증가에도 불구하고 민간 석유화학 플랜트와 민자 수주가 감소해 전년 대비 6.6% 감소할 전망임.
- 주택 수주는 하반기에 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지방의 주택 수요 여력 감소, 거시경제 회복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7.7% 감소해 전체 수주 감소를 주도할 전망임.
- 비주거 건축 수주는 상반기에는 정부의 생활형 SOC 투자 확대 영향으로 비교적 양호할 전망이나, 하반기로 갈수록 민간 오피스텔 공사 발주 감소, 기업들의 투자 감소가 이어져 전년 대비 3.5% 감소할 전망임.
● 2020년 건설투자는 하반기에 부진하여 전년 대비 1.6% 감소할 전망임.
- 지난해 4/4분에 급격히 증가한 정부 공사가 상반기에도 이어져 양호한 모습을 보일 전망임. 그러나, 하반기로 갈수록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민간 공사는 하반기로 갈수록 침체가 심화될 전망인데, 공종별로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축 투자가 하반기 건설투자 감소를 주도할 전망임.
● 올 하반기 건설수주와 건설투자가 동시에 감소하는 등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 영향이 심화 및 장기화될 수 있는바 정부는 다음 세 가지의 정책과제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 첫째, 정부는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하반기 경기 침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공사 조기 발주에 힘쓰는 가운데, 예타면제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음.
- 둘째, 정부는 중장기적인 투자 유인책을 마련하는 가운데, 부족한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민간주택 사업 회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업들이 주택사업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임.
- 셋째, 정부는 내년도 SOC 예산을 올해보다 증액해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응하고 진행 중의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임.
● 한편, 건설기업들은 하반기에 경제 불확실성 확대 및 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신속한 사업 진행과 함께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위기 대처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발주 부문별로 공공 수주는 공공기관 발주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약 10% 정도 증가할 전망이나, 민간 수주의 하락을 만회하기에는 부족할 전망임.
- 공공 수주는 경기부양을 위한 공사 발주가 증가해 전년 대비 9.9% 증가한 52.8조원을 기록, 11년래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임.
- 민간 수주의 경우 하반기에 주택과 비주택 건축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12.6% 감소한 103.1조원을 기록할 전망임.
● 공종별로는 토목 수주가 공공공사 증가에도 불구하고 민간 석유화학 플랜트와 민자 수주가 감소해 전년 대비 6.6% 감소할 전망임.
- 주택 수주는 하반기에 부동산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지방의 주택 수요 여력 감소, 거시경제 회복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7.7% 감소해 전체 수주 감소를 주도할 전망임.
- 비주거 건축 수주는 상반기에는 정부의 생활형 SOC 투자 확대 영향으로 비교적 양호할 전망이나, 하반기로 갈수록 민간 오피스텔 공사 발주 감소, 기업들의 투자 감소가 이어져 전년 대비 3.5% 감소할 전망임.
● 2020년 건설투자는 하반기에 부진하여 전년 대비 1.6% 감소할 전망임.
- 지난해 4/4분에 급격히 증가한 정부 공사가 상반기에도 이어져 양호한 모습을 보일 전망임. 그러나, 하반기로 갈수록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 민간 공사는 하반기로 갈수록 침체가 심화될 전망인데, 공종별로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축 투자가 하반기 건설투자 감소를 주도할 전망임.
● 올 하반기 건설수주와 건설투자가 동시에 감소하는 등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 영향이 심화 및 장기화될 수 있는바 정부는 다음 세 가지의 정책과제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 첫째, 정부는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하반기 경기 침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공사 조기 발주에 힘쓰는 가운데, 예타면제사업을 신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음.
- 둘째, 정부는 중장기적인 투자 유인책을 마련하는 가운데, 부족한 경기부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민간주택 사업 회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업들이 주택사업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임.
- 셋째, 정부는 내년도 SOC 예산을 올해보다 증액해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응하고 진행 중의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임.
● 한편, 건설기업들은 하반기에 경제 불확실성 확대 및 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신속한 사업 진행과 함께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위기 대처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