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건설산업 스마트 기술 활용수준 진단을 위한 기술 분류체계 수립 연구

출판일 2024-03-27

연구원 박희대, 손태홍

●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과 활성화 방안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우리 건설산업에서 적용가능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정립,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활성화 수준 진단이 전제되어야 함.
      - 따라서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과 산업 내 활성화 수준의 진단, 그리고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을 위한 지원정책 수립의
         기반 마련을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과 기술분류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확산을 위한 주체별 역할과 제도적 개선방안 도출 연구의 일부로, 건설기업들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실태 진단에 활용하기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를 수립하는 데에 목적이 있음.
      - 이를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 및 분류를 다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내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건설 및 타분야 기술분류체계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 및 분류체계를 제안함.
●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 수립은 현재 건설산업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및 적용이 초기 단계임을 감안하여, 추후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 내 활성화 수준의 진단 및 지원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
       - 따라서 건설사업의 생애주기 중 스마트 건설기술이 적용되는 단계와 적용분야 또는 특성을 고려한 기술분류체계가 수립될 필요가 있음.
● 또한, 많은 경우 동일한 스마트 건설기술이 생애주기 여러 단계에 걸쳐 적용이 가능하며, 건설 생산방식의 디지털화, 자동화,
      탈현장화 촉진에 기여하는 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
       - 건설사업 수행단계에 따른 구분 외에 스마트 건설기술이 건설생산시스템 혁신에 미치는 점을 고려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 자동화,
          탈현장화로 그 영역을 구분하고, 많은 스마트 건설기술 및 장비가 현장의 안전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해 개발·도입되는 점을 고려할 때
          핵심 영역으로 포함이 필요함.
● 본 연구는 건설사업 수행단계와 생산시스템 혁신의 특성에 따라 2차원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를 제안하였으며,
       각 영역에 해당되는 개별 기술은 단계 및 특성의 이니셜과 순번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여 구분이 용이하도록 함.
       - 수행단계는 계획·설계단계, 시공단계, 운영 및 유지단계로 구분하고, 혁신영역은 디지털화, 자동화, 탈현장화, 안전·품질 향상으로
          구분하고 각 부문에 해당하는 개별 기술이 포함되도록 구성함.
      - 분류체계에 해당되는 개별 기술은 식별코드에 숫자를 부여하여 기술의 식별 및 새로운 융합 및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
      - 여러 단계에 적용이 가능하거나 복수의 혁신영역에 해당하는 기술은 각 영역에 중복 등록이 가능하게 하여 같은 기술이더라도 기술의
         적용단계 및 특성에 따른 구별이 가능하도록 함.
●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체계는 지속적인 검토 및 수정, 영역별 해당 개별 기술의 추가를 통한 보완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추후
      국내 건설기업들의 단계별·영역별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 현황, 도입계획 등의 체계적인 진단에 활용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