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이슈포커스

다기능 건설인력 활용을 통한 기능인력 절감효과 및 적용 방안

출판일 2003-04-21

연구원 김윤주.최석인

국내외 건설산업의 최우선 당면 과제가 되고 있는 건설 기능 인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건설산업은 그동안 인력 공급량 확대를 중심으로 그 해결책을 모색해 왔음. 하지만 이러한 방안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상호 보완적으로 인력의 수요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필수적임.

  인력 수요를 절감하는 방안으로는 생산성 향상과 연관되는 것들이 많음. 기계화/자동화, IT 기술, 고성능 자재의 활용, 재설계/재시공 방지, 공장 제작/모듈화, 작업 프로세스 개선, 다기능 인력의 활용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음.  

  이 가운데 다기능 인력(Multi-Skilled Labor)의 활용은 인력 수요의 절감뿐만 아니라 기능  인력의 처우 개선에도 큰 효과가 있음.  
  
- 안전성 향상, 인력 수요 및 비용 절감, 작업의 연속성 및 융통성 확보, 품질의 향상, 고용 기간의 증가, 작업자 동기유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다기능 인력의 적용시 인력은 약 35%, 노무비는 약 5% 정도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4가지 이상의 다기능을 보유할 경우, 약 47% 정도의 고용 기간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미국의 초고층 건축 공사의 기둥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대상으로 다기능 인력의 적용과 공법 변경을 시뮬레이션해본 결과 최대 약 70%의 공기 단축과 77% 정도의 노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됨.  

  다기능 인력의 적용은 건설산업의 요소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실행 방안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임.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다기능 인력의 도입 방안을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음.

   - 1 단계 : 현재의 기능 인력 직종을 통합·간소화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함. 그리고 단일 기능에서 다기능화로 가기 위한 선행단계로서 단일기능에 대한 숙련도와 전문성을 높이는 훈련이 요구됨.  
  
  - 2 단계 : 다기능 숙련공의 양성 및 활용이 활성화되는 단계임. 보통 이상의 기술력은 물론, 여러 공종에 대한 다기능을 갖춘 숙련된 인력의 양성 및 실제 투입을 통하여 인력 수요의 절감과 작업의 융통성 및 생산성을 높이는 단계가 될 것임.  

  - 3 단계 : 장기적으로 기계화/자동화, 대체 자재의 개발, IT 기술의 발전, 공장 제작의 활성화 등으로 인해 숙련공에 대한 요구는 현재보다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이 단계의 기능인력은 여러 공종에 대한 일정 수준의 기능(다기능 저숙련)을 갖추고 있으면서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