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타발간물

CERIK 건설산업 연구Ⅰ

출판일 2000-11-01

연구원 CERIK

1990 년대 중반 이후 우리 경제는 구조조정의 고통이 심화되고 있다.이 과정에서 건설산업의 구조조정은 특히 어려움이 큰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현상은 압축 성장의 말미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변화의 고통으로 해석된다.기본적으로 건설 투자는 자본재 투자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제가 팽창하는시기에는 타부문보다 빨리 성장하고 안정기에는 급격히 축소되는 속성을 갖고있다. 따라서,외환 위기 이후의 건설 경기는 더욱 극심한 어려움 속에 있는것이다.

그러나,건설산업이 당면한 고통은 단기적 경기 침체의 국면으로 볼 수만은 없는 것이다.우리 건설업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근본적인 산업 구조 개혁과제도의 개혁 없이는 극복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우리가 주목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건설 환경의 변화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진전되던 과거와 같은 수요의 양적 확대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질적으로 고급화되고
다양화되는 수요에 대응하여 비교 우위에 바탕을 둔 사업 영역의 전략적 선택, 그리고 정교한 공급 체계 관리 등을 통해서 새로운 비전을 찾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으로 변하였다.제반 제도 개혁들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관련된 제도와 산업 구조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분석이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축적해 온 무형의 자산들이 소실되는 시행 착오를 최소화하면서 창조적 파괴를 이루어내는 효율적인 노력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본 연구원은 격변기에 처한 건설산업의 발전을 위해 경제 ·경영 ·기술 및 건설사업관리(CM)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 분석 활동을 수행하여 왔다.급격히 진행되는 제도적 경제적 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경기 전망은 물론 정부 및 업체 차원에서의 대응 전략을 꾸준히 제시해 오고 있다.

본서는 본 연구원이 출범한 이후 지난 5년 동안 수행한 약 250 여 건의 연구결과 중 1997 년부터 2000 년 상반기까지의 과제를 요약 ·정리한 것이다.

편의상 연구 결과를 건설 정책 ·건설 경제 ·건설 경영 ·건설사업관리(CM)로 대별하여 편집하였고,이를 다시 건설 정책과 건설 경영 부문을 한 권으로, 건설 경제와 CM 부문을 또 한 권으로 묶었다.

본서는 우리 경제의 격심한 구조조정의 과정에서 노정된 건설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정책적 이슈와 더불어 경제적 분석에 관한 연구 내용을 집약 ·정리하였다.본서는 건설산업의 생리와 이에 따른 제도와 관행을 이해하고자 하는 산업과 정부의 전문가에게 본원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당면할 문제의 해결에 폭넓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출판의 목적이 있다.아무쪼록,본 연구 결과 요약 보고서가 건설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