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건설업체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제도 개선 방안
출판일 2009-03-03
연구원 이의섭
세계 건설시장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WTO 및 정부조달협정의 가입국가가 늘어나면서 공공공사의 국제 입찰이 증가함에 따라, 해외 건설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임.
Global Insight의 「World Construction Outlook」조사에 따르면 세계 건설시장 규모는 2008년에 5조 234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고 있고, 이 중 국제 입찰로 진행되어 외국 기업에 의하여 계약되는 해외 건설시장 규모는 전체의 약 10%인 5,000억 달러로 추정됨.
한편, 해외 건설시장은 도급형 공사의 비중은 감소하고, 부동산 개발사업과 BTO 등 민간 자본을 이용한 인프라 공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세계은행(World Bank) 자료에 의하면 개발도상국 국가의 투자개발형 인프라 시장은 1990년 117억 달러 규모에서 2000년 890억 달러, 2007년 1,579억 달러 규모로 증가하였음.
도급형 공사의 경우도 일부 발주처는 시공자에게 금융 주선을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해외공사 수주에 있어 금융 주선 능력이 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이와 같이 해외 건설시장에서 금융이 수주 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여전히 자금 동원 능력 또는 금융기관에서 보증서 발급이 어려워 해외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Global Insight의 「World Construction Outlook」조사에 따르면 세계 건설시장 규모는 2008년에 5조 234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고 있고, 이 중 국제 입찰로 진행되어 외국 기업에 의하여 계약되는 해외 건설시장 규모는 전체의 약 10%인 5,000억 달러로 추정됨.
한편, 해외 건설시장은 도급형 공사의 비중은 감소하고, 부동산 개발사업과 BTO 등 민간 자본을 이용한 인프라 공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세계은행(World Bank) 자료에 의하면 개발도상국 국가의 투자개발형 인프라 시장은 1990년 117억 달러 규모에서 2000년 890억 달러, 2007년 1,579억 달러 규모로 증가하였음.
도급형 공사의 경우도 일부 발주처는 시공자에게 금융 주선을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해외공사 수주에 있어 금융 주선 능력이 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이와 같이 해외 건설시장에서 금융이 수주 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여전히 자금 동원 능력 또는 금융기관에서 보증서 발급이 어려워 해외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