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건설산업의 현안 과제와 대책
출판일 2001-03-01
연구원 신기덕
- 2000년 건설산업은 건설 물량 회복이 미흡한데다 금융 경색 현상도 지속되는 등 총체적인 부
진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음.
- 건설 투자(실질 기준)는 IMF 외환 위기 이후인 1998년과 1999년에 전년 대비 10%이상씩 감소
한 데 이어 2000년 중에도 3/4분기까지 전년 동기비 4.9%감소하였음.
- 건설업체의 자금 조달에 있어서도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이 1997년 말부터 2000년 9월 말
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 2001년 건설 투자는 2.2%증가한 71조 4,000억원 규모로 1997년에 비해 80.8%수준에 그칠 것
으로 전망되는 등 향후의 전망도 밝지 않음.
- 2001년도 건설 공사 계약 실적(일반건설업체 기준)도 2000년에 비해 3.1%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 정부의 건설 투자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은 대내외 경제 여건의 악화로 위기에 처해있는 국내
경제의 침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건설
산업의 회생을 도모할 수 있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음.
진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음.
- 건설 투자(실질 기준)는 IMF 외환 위기 이후인 1998년과 1999년에 전년 대비 10%이상씩 감소
한 데 이어 2000년 중에도 3/4분기까지 전년 동기비 4.9%감소하였음.
- 건설업체의 자금 조달에 있어서도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이 1997년 말부터 2000년 9월 말
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 2001년 건설 투자는 2.2%증가한 71조 4,000억원 규모로 1997년에 비해 80.8%수준에 그칠 것
으로 전망되는 등 향후의 전망도 밝지 않음.
- 2001년도 건설 공사 계약 실적(일반건설업체 기준)도 2000년에 비해 3.1%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 정부의 건설 투자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은 대내외 경제 여건의 악화로 위기에 처해있는 국내
경제의 침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건설
산업의 회생을 도모할 수 있는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