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설산업의 환경 변화와 수요전망

출판일 2001-02-01

연구원 김준한

-국내의 건설시장은 IMF 체제 이후 투자가 급격히 감소했으며,1999년과 2000년대에 들어 극히 완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음.

-기업으로서는 매출 신장 위주의 경영 전략에서 수익성과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볼수있음.

-국내 ·외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건설시장의 전망이 어려워지고,기업은 생존을 위한 단기 전략의 수립조차도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음.

-특히,과학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예측 방법을 활용한 단기 및 중기 시장 규모의 전망이 필요함.

-정부 정책이 공공사업의 효율화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사업 수행 절차와 입 ·낙찰제도를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이러한 정책 기조의 변화에 따라 기업은 건설사업 수주 전략 및 관리 기술의 전환은 물론 지금까지의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건설산업의 발전적 성장을 주도하는 능동적인 자세로의 전환이 요구됨.

-건설업 면허제가 등록제로 바뀌면서 신규 건설업자의 진입이 용이해지고 국내 공공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경쟁 여건이 변화하고 있음.

-따라서 건설기업은 구조적 개선 노력과 경영 전략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음.

-향후 국내 건설시장은 세계화 ·국제화의 환경 속에서 기술력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것임.

-개별 기업 차원에서의 기술 개발과 함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을 위한 산업체 차원의 공동 연구 또한 필요함.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