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시대 인프라 질적제고방향과 전략
출판일 2017-07-12
연구원 최석인, 박수진, 최수영, 최은정, 박희대, 박철한
최근 선진국은 인프라의 신설 및 재투자를 위한 각종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내 건설산업도 사회안전망 확보를 위한 노후 인프라 투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선진국은 장기간의 투자를 통해 구축된 인프라의 노후화와 신설 인프라 확보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압축 성장 시기에 지어진 인프라의 안전과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예방적 투자가 필요함.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프라 투자 기조는 양적 중심에서 질적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임.
․콘크리트와 철골 구조물로 대표되는 기존의 양적 중심 인프라 투자는 그 실질적인 효과와는 상관없이 매력이 없을 수 있음.
․선진국은 최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사회안전망 구축과 더 높은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인프라 투자가 추진되고 있음.
- 우리 건설은 미래형 인프라, 즉 ‘스마트 인프라’의 추진이 필요한 시점이며, 완성 시설뿐만 아니라 건설 과정의 스마트화를 이루어야 함.
․이를 통해 국민 생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사용성,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본 연구는 미래형 스마트 인프라의 추진 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1) 우리나라 인프라 투자 실태와 정책, 2) 인프라의 질적 제고의 필요성 분석, 3) 선진국의 관련 정책 동향, 4) 스마트 기술 동향, 5) 미래형 스마트 인프라의 추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함.
․선진국은 장기간의 투자를 통해 구축된 인프라의 노후화와 신설 인프라 확보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압축 성장 시기에 지어진 인프라의 안전과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예방적 투자가 필요함.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프라 투자 기조는 양적 중심에서 질적 제고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임.
․콘크리트와 철골 구조물로 대표되는 기존의 양적 중심 인프라 투자는 그 실질적인 효과와는 상관없이 매력이 없을 수 있음.
․선진국은 최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사회안전망 구축과 더 높은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인프라 투자가 추진되고 있음.
- 우리 건설은 미래형 인프라, 즉 ‘스마트 인프라’의 추진이 필요한 시점이며, 완성 시설뿐만 아니라 건설 과정의 스마트화를 이루어야 함.
․이를 통해 국민 생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사용성,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본 연구는 미래형 스마트 인프라의 추진 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1) 우리나라 인프라 투자 실태와 정책, 2) 인프라의 질적 제고의 필요성 분석, 3) 선진국의 관련 정책 동향, 4) 스마트 기술 동향, 5) 미래형 스마트 인프라의 추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