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2004년 건설산업의 당면과제와 대응방향

출판일 2004-04-28

연구원 이상호외10인

일반건설업체의 수주실적은 2003년에 102조원이라는 사상최고 실적을 기록하였으나, 2004년에는 전년대비 13.1% 감소한 89조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공공공사 수주실적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3~4년에 걸쳐 건설시장의 성장을 주도하였던 민간주택공사 수주실적은 전년대비 20%이상 급감할 것으로 전망
다만, 해외건설공사는 2003년에 37억불의 수주실적을 보였으나 2004년에는 이라크․이란 등 중동지역의 수주실적 호조로 4월 9일 현재 17억불의 수주실적을 기록함으로써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공공, 민간 및 민자 SOC사업을 막론하고 정부규제 강화와 ‘제도개선’이란 이름의 ‘정책변경’으로 인하여 수익성도 급감할 전망임.
․ 공공공사의 경우 2001년부터 1,000억원 이상 PQ공사에 시행되어 온 최저가 낙찰제가 2003년 12월부터 500억원 이상 PQ공사로 확대․적용되었고, 실적공사비 적산제도가 도입되는 등 제도변화에 따라 수익성 저하 예상
․ 민간 주택공사의 경우 2003년 10월 29일에 발표되었던 강력한 투기억제 대책의 시행 등으로 인하여 수익성 악화 불가피
․ 민자 SOC사업의 경우도 2003년부터 운영수입 보장기간 및 보장수준의 축소 등 제도변화로 인하여 수익성 저하

- 최근에는 철근, 골재 등 건자재 가격의 급상승과 공급부족으로 인하여 공사원가의 상승, 공기 지연 등이 예상되며,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증액을 기대할 수 없는 민간주택공사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됨.  
․ 2003년 2월에 비하여 2004년 2월에는 철강재 가격은 평균 34% 가량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총공사비는 약 1.8% 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정
․ 공기 지연으로 인한 손실규모는 5천억원 내지 2조원으로 추정

- 2004년 건설시장 환경변화의 핵심적인 키워드는 공사 수주실적의 위축과 수익성 급감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같은 변화를 초래하게 된 원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수주물량의 확대와 수익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