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초고층 건설로 공간 효율성 높여야
보도일자 2010-07-04
보도기관 파이낸셜
21세기 들어 초고층 빌딩이 국가 경쟁력의 상징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123층 규모의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 건설에 대한 건축심의가 통과되면서 국내에도 초고층 시대가 열리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연합 두바이에 가본 사람이라면 162층에 828m에 달하는 부르즈 칼리파(Burj Khalifa)의 위용에 놀란다. 미국도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등 웬만한 도시의 오피스 지역에는 초고층 빌딩이 마천루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경제 발전이 늦은 중국에서도 상하이, 광저우 등에는 초고층 빌딩이 숲을 이루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타워나 대만의 타이베이금융센터, 홍콩의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일본 도쿄 롯폰기힐스의 초고층 타워 등도 도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면서 관광 수입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1600m 높이의 더마일하이빌딩 건설이 추진 중이고 두바이에서는 1050m의 알버즈타워가 기획단계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25년 전에 완공된 서울 여의도 63층빌딩이 아직까지 최고층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부르즈 칼리파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주요 초고층 빌딩을 대부분 시공했던 국내 건설업체의 기술력을 감안할 때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토지 이용의 효율화와 더불어 쾌적하고 풍요로운 도시 환경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초고층화가 가장 유용한 해법이다.
MBC 드라마ㆍ시트콤 흥행 저조
日 유명배우들 한국 드라마 잇따라 출연
뱃살부터 빠지면?
다이어트가 쉽지!
하지만 국내에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복잡다단한 규제와 대도시 스카이라인에 대한 정책 부재에 있다. 고도지구 제한, 도로변과 강변의 사선규제, 문화재보호구역 규제 등이 대표적이다. 초고층 건물에 대한 집단 민원과 소형주택 의무화 등 재건축·재개발에 대한 규제도 한몫하고 있다. 더불어 현실과는 달리 초고층 프로젝트를 특혜 혹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보는 시각도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초고층 빌딩은 3.3㎡당 건축비가 일반 빌딩의 2∼3배에 달해 수익성이 낮다는 점을 감안해 금융이나 세제 측면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서울의 초고층 건물은 랜드마크로 1∼2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까지 170만㎡의 오피스 공간이 부족하다. 초고층 빌딩 1개의 공급 면적이 20만㎡ 정도 인점을 고려하면 초고층 빌딩의 공급 확대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중국 상하이의 인구는 1500만명 정도지만 푸둥지구에는 500m에 달하는 상하이세계금융센터, 진마오타워를 비롯해 초고층 빌딩 20여개가 숲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120층의 상하이타워가 최근 착공되었고 300층 규모의 바이오닉타워도 계획되고 있다. 서울의 인구는 1100만명 수준이며 인근 위성도시 규모를 감안할 때 상하이에 버금가는 초고층 빌딩의 공급이 필요하다. 10년 후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로 진입하면서 인천 송도와 서울 상암지구 및 용산국제업무지구, 여의도, 뚝섬, 잠실까지 늘어선 거대한 초고층 빌딩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력을 과시하는 시대가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최민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정책연구실장
아랍에미리트연합 두바이에 가본 사람이라면 162층에 828m에 달하는 부르즈 칼리파(Burj Khalifa)의 위용에 놀란다. 미국도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등 웬만한 도시의 오피스 지역에는 초고층 빌딩이 마천루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경제 발전이 늦은 중국에서도 상하이, 광저우 등에는 초고층 빌딩이 숲을 이루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타워나 대만의 타이베이금융센터, 홍콩의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일본 도쿄 롯폰기힐스의 초고층 타워 등도 도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면서 관광 수입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1600m 높이의 더마일하이빌딩 건설이 추진 중이고 두바이에서는 1050m의 알버즈타워가 기획단계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25년 전에 완공된 서울 여의도 63층빌딩이 아직까지 최고층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부르즈 칼리파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주요 초고층 빌딩을 대부분 시공했던 국내 건설업체의 기술력을 감안할 때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토지 이용의 효율화와 더불어 쾌적하고 풍요로운 도시 환경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초고층화가 가장 유용한 해법이다.
MBC 드라마ㆍ시트콤 흥행 저조
日 유명배우들 한국 드라마 잇따라 출연
뱃살부터 빠지면?
다이어트가 쉽지!
하지만 국내에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복잡다단한 규제와 대도시 스카이라인에 대한 정책 부재에 있다. 고도지구 제한, 도로변과 강변의 사선규제, 문화재보호구역 규제 등이 대표적이다. 초고층 건물에 대한 집단 민원과 소형주택 의무화 등 재건축·재개발에 대한 규제도 한몫하고 있다. 더불어 현실과는 달리 초고층 프로젝트를 특혜 혹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보는 시각도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초고층 빌딩은 3.3㎡당 건축비가 일반 빌딩의 2∼3배에 달해 수익성이 낮다는 점을 감안해 금융이나 세제 측면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서울의 초고층 건물은 랜드마크로 1∼2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까지 170만㎡의 오피스 공간이 부족하다. 초고층 빌딩 1개의 공급 면적이 20만㎡ 정도 인점을 고려하면 초고층 빌딩의 공급 확대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중국 상하이의 인구는 1500만명 정도지만 푸둥지구에는 500m에 달하는 상하이세계금융센터, 진마오타워를 비롯해 초고층 빌딩 20여개가 숲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 120층의 상하이타워가 최근 착공되었고 300층 규모의 바이오닉타워도 계획되고 있다. 서울의 인구는 1100만명 수준이며 인근 위성도시 규모를 감안할 때 상하이에 버금가는 초고층 빌딩의 공급이 필요하다. 10년 후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로 진입하면서 인천 송도와 서울 상암지구 및 용산국제업무지구, 여의도, 뚝섬, 잠실까지 늘어선 거대한 초고층 빌딩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력을 과시하는 시대가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최민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정책연구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