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언론기고

수주 좌우하는 경영평가 개선 시급

보도일자 2001-07-13

보도기관 financial

매년 7월1일이면 건설업계의 평균 부채비율 등이 발표된다. 이 비율에 따라 향후 1년간 공공공사 입찰 때 개별 건설업체의 경영평가 점수가 결정된다. 이 점수가 공공공사 수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100대 건설업체들 중 2001년도 경영평가 1위는 지방의 중소 건설업체인 충일건설이었다. 내로라하는 대형건설업체들을 제치고 이 업체가 경영평가 1위를 차지했다는 것 자체가 이례적으로 보인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경영평가 1위를 차지한 이 업체가 그로부터 불과 일주일도 지나지 않은 지난 6일 부도가 났다는 사실이다.

이전에도 경영평가 점수가 좋은 업체의 부도가 심심찮게 있었다. 부도 후 법정관리나 화의상태에 처한 건설업체 중 일부는 지금도 주식시장이나 금융기관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는 업체보다 더 높은 경영평가 점수를 받고 있다. 이같은 사실을 알게 되면, 누구라도 현재의 경영평가제도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공공공사 입찰 때 경영평가는 부채비율을 포함한 6개의 재무비율로만 구성돼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싶다. 민간의 신용평가기관이나 보증기관에선 40∼50개 항목으로 건설업체의 경영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비하면 6개의 재무비율만으로 기업의 경영상태를 제대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또한 실질자본금이 100억원인 회사건, 1000억원인 회사건간에 6개의 재무비율만 좋으면 좋은 점수를 받게 된다.

기업의 경영규모가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건설업체는 경영투명성이 아직도 부족하다. 이런 등등의 이유로 인해 시장에선 아주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도 정작 공공공사 입찰시 경영평가는 낮은 업체들이 많다.

실제로 경영평가 점수와 신용평가기관의 평가등급을 대조시켜 보면 상관관계를 발견하기 어렵다. 부도가 난 경영평가 1위업체의 신용평가등급도 경영평가 점수와는 달리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의 경영상태에 대한 시장평가와 정부평가간에 큰 괴리가 있는 셈이다.

시장평가와 정부평가가 상이할 경우, 정부평가를 시장평가에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아무래도 시장평가가 획일적인 법과 기준에 근거한 정부평가보다 실상을 더 잘 반영해 주기 때문이다. 선진 외국에서도 시장평가 결과를 정부평가시 그대로 도입해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직도 경영투명성이 부족한 현실에서 경영평가 항목을 복잡하게 만들면 만들수록 행정력 소모만 증대시킬 뿐이지 실질적인 개선대책이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도 신용평가등급과 같은 시장평가 결과를 정부평가시 그대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공사특성이나 규모에 비춰 기업규모나 경영투명성 정도를 평가때 활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경영평가 1위업체의 부도는 한번으로 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