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언론기고

[기고] 건설산업 공생발전 이뤄내려면

보도일자 2011-10-24

보도기관 매일경제

지난주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가 출범했다.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는 건설문화 개선을 비롯한 이미지 제고, 그리고 공생발전 정착을 위한 핵심 허브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역할을 통해 궁극적으로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선진화를 도모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큰 목표인 만큼 발주자와 원ㆍ하도급업체, 엔지니어링업체, 건설근로자, 건설단체 등 건설 생산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를 비롯해 문화ㆍ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전문가들까지 이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모쪼록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생산돼 공생발전이 건설산업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 정착되길 기대한다.

최근 언론에서는 대통령이 공생발전을 언급한 지 두어 달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대책과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앞다퉈 지적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만큼 구체적인 실천 방안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산업의 양적ㆍ질적인 성장 토대가 마련되지 않으면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내놓기 어렵고, 또 자칫 산업 자체의 경쟁력 저하를 유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은 지금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 국내외적으로 산재한 여러 경제 불안 요인과 공공건설 물량의 지속적인 축소, 이에 따른 출혈 경쟁과 저가 수주를 유도하는 입찰제도로 인해 원가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어려운 건설산업 환경으로 인해 현재로서는 건설산업의 공생발전은 자칫 실천 가능성이 떨어지는 공염불이 될 수도 있다. 결국 건설산업의 공생발전 모색은 건설산업이 처한 현재의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지속성장 방안 논의와 함께 이루어져야만 한다. 또한 건설산업에 참여하는 정부, 건설기업, 민간ㆍ공공의 건설단체 등 각각의 주체들이 각각의 위치에 맞는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실천할 때 비로소 실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서 공생발전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와 제도를 정비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협력과 신뢰에 바탕을 둔 경제적ㆍ사회적 효율성의 극대화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정책과 제도를 정비해야만 한다.

이런 노력을 통해 형성된 건전한 정책ㆍ제도적인 풍토는 건설산업 내 대형ㆍ중소 건설업체 간 바람직한 생태계 조성에 필수적이다. 또한 건설기업과 건설단체들의 공생발전 노력을 자극하는 핵심적인 요소다.

건설기업은 기업과 기업 간, 기업과 국가 간, 기업과 사회 간 협력관계의 질적인 향상이 향후 핵심 경쟁 요소임을 인식하고 이를 중요한 경영 목표로 삼아 구체적인 실천 계획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민간과 공공의 여러 건설단체 역할도 중요하다. 기업과 정부 사이에서 공생발전을 저해하는 정책과 제도를 적극 발굴하고, 개선 대안을 제시하며, 바람직한 건설산업 내 공생발전의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

정부, 기업, 단체들의 이러한 노력이 산업 내 공생발전을 유도하면 이는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 성장으로 이어지고, 다시 공생발전의 기반을 튼튼히 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낼 것이다.

최근 인문학과 산업, 경영, 기술 간의 접목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 근본은 이미 존재해온 인간의 가치와 본질, 역사성에 대한 이해와 사회의 다원적인 관점의 반영을 통해 미래 경영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는 데 있다.

공생발전도 마찬가지다. 공생발전이란 갑자기 출현한 신개념이나 운동이 아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해온 산업의 생존에 필수적인 원동력이다. 건설산업 내 공생발전 도모는 건설산업의 토대를 튼튼히 하는 노력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