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수주, 2012년되어야 예년(’07년) 수준 회복
작성일 2009-07-31
작성자 이홍일 연구위원
□ ‘지난 30년간(1978~2007년) 국내 건설수주 추이를 5개 기간으로 구분한다면 현재는 재침체기에 해당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이 최근 발표한「과거 30년간 국내 건설수주의 변화추이 패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30년간(1978~2007년) 국내 건설수주 추이를 수주액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기초로 구분하면 안정기(1978~88년), 성장기(1989~97년), 침체기(1998~99년), 회복기(2000~07년), 재침체기(2008~현재) 등의 5개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재는 재침체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30년 간 건설상품별 수주비중의 변화 추이 분석을 통해 2000년 이후 5대 건설수주상품으로는 아파트(26.7%), 도로(13.3%), 사무실 및 상업용건물(9.8%), 공장(5.9%), 기타주택(5.2%)이 선정되었다(괄호안 숫자는 2000년 이후 각 상품별 매년 수주 비중의 평균치).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이 최근 발표한「과거 30년간 국내 건설수주의 변화추이 패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30년간(1978~2007년) 국내 건설수주 추이를 수주액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기초로 구분하면 안정기(1978~88년), 성장기(1989~97년), 침체기(1998~99년), 회복기(2000~07년), 재침체기(2008~현재) 등의 5개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재는 재침체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30년 간 건설상품별 수주비중의 변화 추이 분석을 통해 2000년 이후 5대 건설수주상품으로는 아파트(26.7%), 도로(13.3%), 사무실 및 상업용건물(9.8%), 공장(5.9%), 기타주택(5.2%)이 선정되었다(괄호안 숫자는 2000년 이후 각 상품별 매년 수주 비중의 평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