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개 지역별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제시
작성일 2018-04-18
작성자 CERIK
건산연, 「지역별 인프라 투자 정책방향 및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발굴」보고서에서 분석
- 6·13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채택 가능한 15개 지역별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제시
- 신규 인프라 프로젝트 781개, 노후 인프라 프로젝트 463개 선정
- 전국민 설문조사 결과, “인프라의 현재 성능이나 안전도 낮은 편” 평가
- 전국 주요 핵심 프로젝트 : 5쪽 참조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최근「지역별 인프라 투자 정책방향 및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발굴」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이 보고서를 통해 발굴된 15개 지역별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들은 6·13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충분히 채택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
□ ‘서울을 제외한 15개 지역 1,244개 핵심 프로젝트’들은 인프라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 수준과 지역별·유형별 인프라 실태를 면밀히 진단하여 선정하였다.
* “서울시 인프라 투자 방향 연구(2013)”, “인프라 시설의 안전 및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2015)” 등 2차례 우리 연구원에서 서울 인프라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고 최근의 변동사항에 대해서 추가로 연구를 하였으나,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한 이번 연구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는 서울시 연구는 성격이 상이하여 본 보도자료에서 서울시를 제외함.
- 6·13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채택 가능한 15개 지역별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제시
- 신규 인프라 프로젝트 781개, 노후 인프라 프로젝트 463개 선정
- 전국민 설문조사 결과, “인프라의 현재 성능이나 안전도 낮은 편” 평가
- 전국 주요 핵심 프로젝트 : 5쪽 참조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최근「지역별 인프라 투자 정책방향 및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발굴」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이 보고서를 통해 발굴된 15개 지역별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들은 6·13지방선거에서 공약으로 충분히 채택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
□ ‘서울을 제외한 15개 지역 1,244개 핵심 프로젝트’들은 인프라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 수준과 지역별·유형별 인프라 실태를 면밀히 진단하여 선정하였다.
* “서울시 인프라 투자 방향 연구(2013)”, “인프라 시설의 안전 및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2015)” 등 2차례 우리 연구원에서 서울 인프라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고 최근의 변동사항에 대해서 추가로 연구를 하였으나,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한 이번 연구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는 서울시 연구는 성격이 상이하여 본 보도자료에서 서울시를 제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