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보도자료

부족한 공기가 안전사고 유발, 적정공사비와 적정공기 확보 시급

작성일 2018-12-05

작성자 손태홍, 박희대

「공공공사 공기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공기 산정 기준의 방향과 요인」연구보고서 발간
- 설문조사 결과 : 전체 조사기업(67개사) 중에 36개 기업의 공공공사 수행 중에 공사기간 부족 경험
- 공사기간 부족에 따른 가장 큰 피해 요인 : 공사비 및 간접비 증가(1위), 협력업체와의 갈등과 안전사고 발생이 각각 2위 3위로 평가    
- 발주자와 건설기업 모두 공사비 대비 공사기간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 공사기간 적정성 검토 등한시
- 사업의 다양한 내·외부 영향요인을 공사기간 산정시 포함시키는 절차적 보완 중심 제도 개선 필요
- 적정공사비와 적정공기 확보로 건설품질 확보 및 안전사고 예방해야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최근 「공공공사 공기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공기 산정 기준의 방향과 요인」 보고서를 발간하고 적정 공기의 필요성과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공사 공기 산정 기준의 방향과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을 제시하였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018년 7월 4주간 67개 건설사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공공공사 수행시 공사기간 부족을 경험한 기업은 36개 기업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필요 정보를 제공한 32개 기업의 사업을 분석한 결과, 공사기간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받는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은 공사비 및 간접비 증가(전체 32개 기업 중 26개, 복수응답)가 차지. 협력업체와의 갈등 발생(11개)로 2위. 안전사고 발생(6개)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