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건설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작성일 2020-02-07
작성자 박희대, 손태홍
근 주택 분야를 중심으로 관심이 재조명되는 모듈러 건설이 건설산업의 혁신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며칠 전 중국 우한에서 불과 열흘 만에 지어져 화제가 된 대형 응급 전문병원 건설에 모듈러 공법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활용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모듈러 건설은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 블록형 구조체 등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현장 투입인력의 감축, 생산성 향상, 공기 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듈러 건설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6일 ‘모듈러 건설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향’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 박희대 부연구위원은 “모듈러 건설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 조달과정 혁신을 위해 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이지만, 우리 건설산업이 직면한 숙련기술자 고령화, 청년유입 감소, 생산성 침체 등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 싱가포르와 영국의 경우,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듈러 건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에서 ‘모듈러 전환’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싱가포르는 ‘건설산업 구조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모듈러 분야를 육성하고, 2020년까지 공공공사의 40%를 모듈러로 조달하는 한편, 관련 전문인력 3만 5,000명 육성을 추진 중이다.
□ 모듈러 건설은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 블록형 구조체 등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현장 투입인력의 감축, 생산성 향상, 공기 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듈러 건설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6일 ‘모듈러 건설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향’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 박희대 부연구위원은 “모듈러 건설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 조달과정 혁신을 위해 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이지만, 우리 건설산업이 직면한 숙련기술자 고령화, 청년유입 감소, 생산성 침체 등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 싱가포르와 영국의 경우,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모듈러 건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에서 ‘모듈러 전환’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싱가포르는 ‘건설산업 구조전환 계획’의 일환으로 모듈러 분야를 육성하고, 2020년까지 공공공사의 40%를 모듈러로 조달하는 한편, 관련 전문인력 3만 5,000명 육성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