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부동산시장 강타, 경제위기로 전이 가능성 높아
작성일 2020-04-27
작성자 코로나19 대응 TF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7일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만약, 사스 발병 당시(-3.0%)와 외환위기 및 금융위기 당시(-19.8%) 수준으로 주택 거래량이 감소한다면, 민간소비지출이 연간 0.23∼1.50%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 보고서는 코로나19의 직접적 영향인 ‘주택 거래량 감소’를 주택시장 침체의 대리변수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부동산산업의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 거래량이 3.0% 감소하면, 민간소비지출의 감소액은 5,150억원(실질)으로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7,400여 억원, 부가가치 1.9조원, 고용 1.6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거래량이 19.8% 감소하면, 연간 민간소비지출의 실질 금액은 3.2조원 하락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4.6조원, 부가가치 12.2조원, 고용 10.0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특히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임차자 어려움 증가, 거래 감소 및 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비주거용 부동산은 임차자 대출, 임대인 대출이 모두 존재하여 금융 규모가 큰데, 한국은행에 따르면, 자영업자 대출 중 소득 대비 이자상환률 100%가 넘는 차주가 6.5%에 달하고 비주거용 담보대출은 거치식, 단기 만기구조 비중이 높아 만기상환시 어려움에 빠지면 리스크가 빠르게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보고서는 코로나19의 직접적 영향인 ‘주택 거래량 감소’를 주택시장 침체의 대리변수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부동산산업의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 거래량이 3.0% 감소하면, 민간소비지출의 감소액은 5,150억원(실질)으로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7,400여 억원, 부가가치 1.9조원, 고용 1.6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거래량이 19.8% 감소하면, 연간 민간소비지출의 실질 금액은 3.2조원 하락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부동산산업은 생산유발효과 4.6조원, 부가가치 12.2조원, 고용 10.0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특히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임차자 어려움 증가, 거래 감소 및 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비주거용 부동산은 임차자 대출, 임대인 대출이 모두 존재하여 금융 규모가 큰데, 한국은행에 따르면, 자영업자 대출 중 소득 대비 이자상환률 100%가 넘는 차주가 6.5%에 달하고 비주거용 담보대출은 거치식, 단기 만기구조 비중이 높아 만기상환시 어려움에 빠지면 리스크가 빠르게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