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촉진을 위해 특별법 제정 필요하다
작성일 2020-07-28
작성자 CERIK
스마트 기술의 건설산업 내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혁신하고, 나아가 산업의 경쟁력까지 제고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생산체계와의 장애 요인과 건설사업에 대한 각종 규제 등 제도적 한계로 인해 스마트 건설사업 활성화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이러한 가운데 28일 오전 10시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윤덕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대한건설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콘서트’가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서 건산연은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한 각종 방안을 담은 특별법 「(가칭)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제안했다.
◎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현행 기술 위주 시각만으로는 활성화 어려워
□ 정부는 건설산업 생산성 혁신 방안으로 BIM(빌딩정보모델링)ㆍ모듈러ㆍ드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7년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을 시작으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각종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통해 단계별 기술개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사업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가운데 28일 오전 10시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윤덕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대한건설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콘서트’가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서 건산연은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한 각종 방안을 담은 특별법 「(가칭)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제안했다.
◎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현행 기술 위주 시각만으로는 활성화 어려워
□ 정부는 건설산업 생산성 혁신 방안으로 BIM(빌딩정보모델링)ㆍ모듈러ㆍ드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7년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을 시작으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각종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통해 단계별 기술개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사업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