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보도자료

무주택 30·40대, 구매여력 여전하나 시장 진입 어려워져

작성일 2021-09-23

작성자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재영)과 신용평가기관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대표 황종섭)는 23일 ‘CERIK·KCB Housing Market Insight’ 3호 보고서를 발간하고 수도권 30․40대의 잔여 주택 구매여력을 분석했다.
- CERIK·KCB Housing Market Insight의 지난 2호 보고서에서는 최근 수도권 30․40대 주택 공황구매가 ‘영끌’이 아닌 ‘능력’이라는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 3호 보고서는 2호 보고서에 이어 30․40대 무주택자의 주택 구매여력*을 확인함으로써 시장의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기획됐다.
   * 구매여력 :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조달할 수 있는 최대 자기자본과 현재 수준의 금융규제 하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할 수 있는 금액을 더한 액수

□ 보고서는 KCB의 신용평가자료를 활용해 지금까지 주택을 구매한 그룹은 충분한 구매력을 갖고 있었지만, 현재 무주택자로 남아있는 그룹은 비교적 구매여력이 충분치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 최근 주택시장을 주도해왔던 30대와 40대는 충분한 구매여력을 바탕으로 정부의 공급 신호에 구애받지 않고 부동산을 매입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 무주택자들이 서울 아파트를 구입할 때 대출을 활용하는 비율은 대체로 늘어나고 있지만, LTI나 DTI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금융 여력이 있는 계층이 시장에 집중 진입
   * 정부는 올 초 2․4 대책을 통해 수도권 공급 계획을 밝혔으나 생애 첫 부동산(건물, 집합건물, 토지 포함) 매입자 비율은 오히려 증가
- 그동안 수도권 무주택자가 주택 매입에 나선 것은 크게 ① 가점제 및 특별공급 청약 포기, ② 전세가 상승에 따른 ‘벼락거지*’ 회피 심리 때문으로 추정된다.
   * 벼락거지 : ‘벼락부자’와 상반된 단어로, 집을 사지 않고 가만히 있었을 뿐인데 자연스럽게 자산 형성의 흐름에서 뒤처졌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신조어
- 따라서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금융여력을 갖춘 30대와 40대가 얼마나 남아있는지가 향후 주택시장 향방을 예측하는 열쇠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