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보도자료

유럽은 MMC로 건물 ‘뚝딱’인데… 국내에선 아직 미흡한 수준

작성일 2022-07-27

작성자 이지혜,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7일 「유럽 건설시장의 MMC(Modern Methods of Construction) 적용 동향과 전문기업 분석」을 발간하고, “유럽에서는 MMC 활용 촉진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며, “국내 건설산업의 MMC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베스트 프렉티스’를 제시했다.
- MMC는 단위 기술이나 방식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의 용어로 OSC(탈현장화, Off Site Construction) DfMA(공장 제작 및 조립 방식, Design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모듈러, Prefab을 포함하여 재료, 장비, 인력, 프로세스 등 다양한 사업 투입 요소의 혁신 기술을 뜻한다.

□ 유럽은 전 세계에서 MMC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정부의 모듈식 및 조립식 건물 채택이 증가에 힘입어 MMC 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유럽의 MMC 시장은 2020년 기준 500억 달러 규모 이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2027년에는 약 800억 달러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은 국내 주택에서 현장 시공 방식이 아닌 탈현장화(OSC) 방식으로 건설된 주택의 비중이 45%에 이른다.
□ 유럽 국가들은 최근 심각해진 주택비용 상승 및 주택 부족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MMC의 활용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MMC 활용을 통한 합리적인 가격의 주택공급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키고 있다.
- 특히 영국은 MMC를 건설산업 혁신 핵심 전략으로 채택하여 건설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정책과 더불어 MMC의 개념 정립 및 기준 제시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영국 이외의 유럽 국가에서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 기준을 높이는 정책 등의 간접적인 영향을 통해 MMC 활용을 촉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