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보도자료

갈 길 먼 디지털 전환… “아직 초기 단계, 상당히 부족한 수준”

작성일 2022-10-19

작성자 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0일 발간한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1위~30위까지의 상위 기업들조차 ‘정보 디지털화’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1위∼10위권의 기업들도 일부만 ‘업무 디지털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화는 기존 아날로그 자료와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정보 디지털화(Digitization)’, 업무 혁신과 최적화를 통해 새로운 업무 범위와 조직, 프로세스, 시스템이 통합적으로 적용되는 ‘업무 디지털화(Digitalization)’, 디지털화를 통해서 기존 사업 영역을 벗어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3단계로 구분된다.

□ 1위∼10위권 기업은 대부분 BIM(빌딩정보모델링)을 사용하고 있고, PMIS(사업관리정보시스템)를 보유하고 있으며, RFID, 생체인식 기술, 드론, 3D 스캐너, 스마트 센서, 가상현실 등 스마트 건설기술들을 일부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1위∼30위권 기업은 절반 정도의 업체가 BIM을 사용하고, PMIS는 보유하지 않은 업체가 다수였으며, 스마트 건설기술도 적용도 일부 기업으로 제한적이었다.
-  31위권 이하 기업은 전체 업무의 약 70%를 엑셀 등 범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수행하고 있으며, ERP나 PMIS 등을 사용하는 비율은 20% 이하로 확인됐다. 이들 기업군에서의 디지털화는 사실상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