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산업 생산성 격차… 건설업, 노동생산성 줄고 선진국과의 격차는 더 벌어져
작성일 2022-11-29
작성자 성유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29일 「한국 건설산업 생산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최근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부가가치기준과 산업생산기준 모두에서 급격히 하락했으며, 10년의 장기 추세도 감소세를 보이는바,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 하락에 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2011년에서 2021년 사이 104.1에서 94.5로 감소하였고, 산업생산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106.9에서 98.6으로 줄었다.
- 동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은 98.8(2011년)에서 113.5(2021년), 산업생산 기준 노동생산성은 104.5(2011년)에서 110.0(2021년)으로 증가하였다.
- 노동생산성 감소는 동일하게 투입된 인력이 더 적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건설산업 종사자들의 임금 향상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뜻한다.
□ 선직국과 비교에서도 건설산업의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 순위는 2010년 22위(5만 214달러)에서 2019년 26위(2019년 5만 1,603달러)로 하락했다.
- 동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노동생산성은 2010년 23위(6만 9,227달러)에서 2019년 22위(7만 9,660달러)로 한 단계 상승했으며, 여기에는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향상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 건산연은 향후 건설업 생산성 전망을 위해 대표적인 투입 요소인 노동과 산출 요소인 건설경기와 기술투자, 제도요인 등 기타 영향 요소에 대해 조사했다.
- 건설산업에서는 과거와 같은 노동과 자본 투입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경기부양을 위한 건설투자 확대도 어려운 상황이다.
- 건설경기 하락 전망, 고령화, 민간부문의 저조한 기술투자, 규제 중심의 제도 여건 등의 영향으로 건설산업에서는 앞으로 생산성 저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2011년에서 2021년 사이 104.1에서 94.5로 감소하였고, 산업생산기준 노동생산성 지수는 106.9에서 98.6으로 줄었다.
- 동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부가가치기준 노동생산성은 98.8(2011년)에서 113.5(2021년), 산업생산 기준 노동생산성은 104.5(2011년)에서 110.0(2021년)으로 증가하였다.
- 노동생산성 감소는 동일하게 투입된 인력이 더 적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건설산업 종사자들의 임금 향상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뜻한다.
□ 선직국과 비교에서도 건설산업의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노동생산성 순위는 2010년 22위(5만 214달러)에서 2019년 26위(2019년 5만 1,603달러)로 하락했다.
- 동기간 우리나라 전산업의 노동생산성은 2010년 23위(6만 9,227달러)에서 2019년 22위(7만 9,660달러)로 한 단계 상승했으며, 여기에는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향상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 건산연은 향후 건설업 생산성 전망을 위해 대표적인 투입 요소인 노동과 산출 요소인 건설경기와 기술투자, 제도요인 등 기타 영향 요소에 대해 조사했다.
- 건설산업에서는 과거와 같은 노동과 자본 투입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경기부양을 위한 건설투자 확대도 어려운 상황이다.
- 건설경기 하락 전망, 고령화, 민간부문의 저조한 기술투자, 규제 중심의 제도 여건 등의 영향으로 건설산업에서는 앞으로 생산성 저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