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CBSI 전월 대비 3.0p 하락한 69.2 기록
작성일 2024-09-05
작성자 CERIK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5일 “2024년 8월 CBSI가 전월 대비 3.0p 하락한 69.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이지혜 연구위원은 “8월 CBSI는 7월보다 다소 하락하였으며 건설기업의 체감 건설경기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 부문별 실적지수 중 신규수주지수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가장 낮은 수준으로 신규수주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지수(92.3)가 전월 대비 상승하여 90선대를 유지하였으나 중견기업지수(60.6)와 중소기업지수(54.9)는 하락하여 낮은 수준이다.
- 지역별로 서울은 91.8, 지방은 62.9로 서울과 지방지수 간 격차 또한 유지되고 있다.
- 공종별 신규수주 지수는 토목지수(78.7)가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주택지수(62.3)와 비주택건축지수(65.8)는 하락했다.
- 8월 종합실적지수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요인은 신규수주(56.0%)로 전월 대비 영향력이 상승하였고, 공사기성의 영향력(11.2%)이 가장 많이 하락하였다.
□ 9월 전망지수는 8월 실적지수보다 7.0p 상승한 76.2이다.
- 9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76.2로 8월 종합실적지수보다 7.0p 높은 수치이나 여전히 부정적 전망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 이지혜 연구위원은 “8월 CBSI는 7월보다 다소 하락하였으며 건설기업의 체감 건설경기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 부문별 실적지수 중 신규수주지수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가장 낮은 수준으로 신규수주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지수(92.3)가 전월 대비 상승하여 90선대를 유지하였으나 중견기업지수(60.6)와 중소기업지수(54.9)는 하락하여 낮은 수준이다.
- 지역별로 서울은 91.8, 지방은 62.9로 서울과 지방지수 간 격차 또한 유지되고 있다.
- 공종별 신규수주 지수는 토목지수(78.7)가 전월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주택지수(62.3)와 비주택건축지수(65.8)는 하락했다.
- 8월 종합실적지수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요인은 신규수주(56.0%)로 전월 대비 영향력이 상승하였고, 공사기성의 영향력(11.2%)이 가장 많이 하락하였다.
□ 9월 전망지수는 8월 실적지수보다 7.0p 상승한 76.2이다.
- 9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76.2로 8월 종합실적지수보다 7.0p 높은 수치이나 여전히 부정적 전망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