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 발표"
작성일 2025-03-18
작성자 CERIK
건설산업 미래 혁신의 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 발표"
- 개원 30주년, 건설산업 지속가능한 발전 위한 근본적 대전환 전략 제시 -
•(발제1) “4Re”, 책무를 다하고(Responsible), 혁신을 추구하며(Revolutionary), 신뢰할 수 있고(Reliable), 도약하는(Resilient) 산업으로 건설 재탄생 지향 • (발제2)사람 중심의 가치로 재정립, 기술과 자본을 넘어 ‘인적’ 요소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산업으로의 전환 위한 방안 제시 • (발제3)반복되는 제도와 규율 중심의 패러다임을 넘어 산업 전반을 구성하는 부문별 개선 방향 제시를 통한 산업체계의 근본적 대변화 주문 • (발제4)건설상품과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전환,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지속가능한 건설상품과 시장, 금융 등 ‘민간 주도, 공공 지원’으로의 혁신방안 제시 |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오는 18일(화)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 2층 CG아트홀에서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를 개최하고,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의 과제로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을 발표했다.
□ 건설산업 재탄생은 단순한 산업구조 조정이 아니라, 건설산업의 본질적인 혁신과 대전환을 의미한다. 국가 경제 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산업으로서, 건설산업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기적인 시장 활성화 대책을 넘어 산업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수적이다.
- 이에 연구원은 공정·상생, 융합·확장, 자율·혁신이라는 ‘3대 원칙’을 바탕으로 건설산업의 중점가치를 재정립하고, 법체계 전환 및디지털·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생산체계로 혁신하며, 국민 중심의 건설상품과 시장을 조성하는 산업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재탄생(Rebirth)’의 핵심가치로 제시했다.
□ 세미나는 한승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사장의 개회사, 이충재 원장의 환영사,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국토위원회 맹성규 위원장의 영상 축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 한승구 이사장은 “오늘 세미나는 건설산업의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며, “오늘 발표된 내용이 건설산업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대한민국 건설산업이 과거의 영광을 넘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은 “건설산업이 직면한 도전과 위기는 복합적이고 근원적이기 때문에 기존 방식만 가지고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고 진단하였다. 건설산업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제도와 시장 등에 대한 단기적인 조치와 더불어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대전환을 통한 산업의 재탄생이 필요하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 아울러 이 원장은 건설산업 재탄생을 위해 3대 대전환 (산업 중점가치, 산업체계, 시장·상품)전략과제를 제안하였다.
- “첫째산업 중점가치 대전환, 건설산업의 모든 주체가 ‘갑’의 위치가 아닌, 책임을 다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재정립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산업 전반의 신뢰 회복을 위해 공정과 협력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개별 기업 차원을 넘어 산업 전반의 유기적 연계와 협력 기반을 확립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 “둘째산업 체계 대전환, 법 체계와 거버넌스의 정비 및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건설을 통한 산업체계의 대전환이 필요하며, 산업 내 불공정 요소 개선과 규제 개혁을 통해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이어 “셋째시장·상품 대전환, “미래 사회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 삶을 우선 고려하면서 디지털 전환 등 첨단기술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 양질의 도시, 인프라, 건축물 등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여기에 금융의 고도화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끝으로, “건설산업의 재탄생 전략의 지속적 추진과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 발주자, 시공·설계·감리·자재·금융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감대 형성과 더불어 산업 주체별 역할과 책임 이행 및 상호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건설 문화가 반드시 정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