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공급 청약, 실제 공급률 28.5%에 그쳐… 제도 효율화 필요성
작성일 2025-04-24
작성자 CERIK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은 4월 24일 발표한 『특별공급 청약제도의 운영 실태와 과제』 보고서를 통해 특별공급 제도가 지역별·상품별 수요 편차가 커짐에 따라 운영 효율성이 저해되고 있으며,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등록자료 1,853개 단지, 약 90만 세대의 청약 데이터 분석(‘20.1.~’24.6.)
□ 전체 분양 물량 중 49.0%가 특별공급으로 최초 배정되었으나, 청약자가 없어 일반공급으로 전환된 물량이 많아 실제로 수요자에게 공급된 특별공급은 28.5%에 불과했다. *특별공급 평형 중 12.9%는 청약자가 전혀 없어 전량 일반공급으로 전환됨.
□ 특별공급 물량의 절반은 청약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자녀(73.0%), 기관추천(62.5%), 노부모 부양(61.6%)은 청약자를 찾지 못하는 비율이 60%를 넘었다.
- 반면, 서울과 세종은 두 자릿수 이상의 특별공급 경쟁률을 기록하며지역 간 수요 쏠림이 심하며,
- 동일한 평형에서도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간 경쟁률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별공급은 19.2%만 경쟁이 발생한 반면, 일반공급은76.7%가 경쟁
□ 지역별·상품별 수요 편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신규 주택 판매 제도인 청약의 운영 효율성이 저해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특별공급 미달 물량은 일반공급으로 전환되며, 그간 분양시장은 지역과 유형에 관계없이 초과수요 구조를 유지해왔기 때문에 큰 문제로 부각되지 않았으나, 시장 여건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수요 기반의 제도 효율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 허윤경 연구위원은 “현행 청약제도는 분양가상한제와 결합되면서 공공택지와 우위지역 거주자에게 더 많은 자산을 배분하고 있다”면서, “로또 청약뿐 아니라 지역정책의 부의 효과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어 “영국의 First Homes은 수분양자가 주택 재판매 시 가격을 구입 때와 동일한 할인율을 적용하게 규제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사후관리제와 같은 개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산 배분 규모의 관리뿐 아니라 부담가능주택 재고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