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
출판일 2023-08-11
연구원 CERIK
◎ (건설수주) 2023년 6월 국내 건설수주는 18.4조 원(전년 동월 대비 –24.8%)
● 공공수주는 토목과 비주택 건축수주가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17.5% 증가
● 민간 부문은 모든 공종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 35.4% 감소
● 결국, 공공이 양호했지만 민간의 부진으로 5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 (건설기성) 2023년 6월 건설기성액은 16.5조 원(전년 동월 대비 +11.1%)
● 공공(+1.5%)과 민간(+13.7%) 모두 증가, 공종별로는 토목(-1.5%)이 부진했지만 건축(+16.0%)이 양호
◎ (각종 건설물가) 전반적으로 건설물가 상승세가 2% 수준으로 둔화, 단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품목의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상황
● 시멘트와 레미콘 등 중요 자재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5~18%대의 높은 상승세 기록
● 건설용 원재료의 가격 상승세는 3% 이상으로 여전히 높은데, 이는 시멘트와 레미콘 등 국내에서 공급되는 비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 다만 수입산 중간재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는데 이는 철근 등 금속자재 가격 하락에 기인
◎ (건설고용) 2023년 6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12만 명(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3%)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6월 전반적으로 민간 신규수주 침체 상황이 지속된 가운데, 기성은 건축공사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 이어간 것으로 분석
● 6월 건설수주는 공공공사 수주가 일부 증가하였지만, 민간수주가 30% 위축된 영향으로 부진
● 한편, 6월(+11.1%) 건설기성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지난 5월(7.8%)보다 일부 상승. 지난해보다 건축공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분석
● 다만, 건설기성 증가세는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 상반기 활발했던 건축공사가 차례로 준공되면서 하반기에는 점차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판단
● 공공수주는 토목과 비주택 건축수주가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17.5% 증가
● 민간 부문은 모든 공종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 35.4% 감소
● 결국, 공공이 양호했지만 민간의 부진으로 5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 (건설기성) 2023년 6월 건설기성액은 16.5조 원(전년 동월 대비 +11.1%)
● 공공(+1.5%)과 민간(+13.7%) 모두 증가, 공종별로는 토목(-1.5%)이 부진했지만 건축(+16.0%)이 양호
◎ (각종 건설물가) 전반적으로 건설물가 상승세가 2% 수준으로 둔화, 단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등 비금속 자재 품목의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상황
● 시멘트와 레미콘 등 중요 자재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5~18%대의 높은 상승세 기록
● 건설용 원재료의 가격 상승세는 3% 이상으로 여전히 높은데, 이는 시멘트와 레미콘 등 국내에서 공급되는 비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 다만 수입산 중간재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는데 이는 철근 등 금속자재 가격 하락에 기인
◎ (건설고용) 2023년 6월 건설업 취업자 수는 212만 명(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3%)
◎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6월 전반적으로 민간 신규수주 침체 상황이 지속된 가운데, 기성은 건축공사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 이어간 것으로 분석
● 6월 건설수주는 공공공사 수주가 일부 증가하였지만, 민간수주가 30% 위축된 영향으로 부진
● 한편, 6월(+11.1%) 건설기성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지난 5월(7.8%)보다 일부 상승. 지난해보다 건축공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분석
● 다만, 건설기성 증가세는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 상반기 활발했던 건축공사가 차례로 준공되면서 하반기에는 점차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판단